[앵커]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오면서 스마트홈과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의 기술이 우리 주거환경에 속속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건설사들은 신기술, 특허, 프로그램 등의 지적재산권 등록에 소홀한 모습인데요. 전문가들은 재래식 아파트 공급에만 집중한 나머지 미래형 아파트에 맞춘 신기술 개발을 등한시 한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취재에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시공능력순위 10대 건설사 중 7곳에서 지적재산권 등록건수가 전년보다 줄거나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재권 등록이 늘어난 곳은 3곳에 그쳤습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이들 건설사들의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보니 신기술·특허·프로그램(소프트웨어) 등 지적재산권 등록건수가 늘어난 곳은 3곳이었고, 유지 3곳, 나머지 4곳은 오히려 줄었습니다.
대형 건설사들이 이미 시공기술을 확보한 아파트 공급에만 집중한 나머지 신기술 개발을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싱크] 심교언 /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아파트) 수요가 급팽창하고 하니까 기존에 만들었던 것만 만들자. 상품성이 검증된 것만 공급해도 충분히 수익성이 남는다. 이런 시각이 강해가지고 새로운 기술개발을 좀 등한시 했어요.”
지난해 10대 건설사들은 총 68건의 지적재산권을 등록했습니다. 건설사 당 7건 꼴로 등록한 셈입니다. 일부 건설사는 등록건수가 아예 없는 곳도 있었습니다.
지적재산권 개발을 위해 쓰이는 연구개발비 역시 이들 건설사 중 8곳에서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사 사업보고서에 나타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을 살펴보니 10대 건설사 중 연구개발비가 늘어난 곳은 단 2곳에 불과했습니다. 6곳이 줄었고 2곳은 그나마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민간 건설사들이 새로운 기술을 시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한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유형의 건물이나 공법, 설계 등을 적용하면 인센티브 등의 혜택을 주자는 겁니다. 일부에선 신기술을 넣지 않으면 시공 승인을 내주지 않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영상편집 김지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