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국민의당 대표가 안철수 대선후보 선대위의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후 오히려 언론 노출을 자제하는 등 ‘로키’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보수진영 일각에서 연일 제기되는 ‘상왕론’ 공세를 조기에 차단하는 한편 안 후보가 최근 급상승세를 타고 있는 대구경북(TK) 지역의 민심도 함께 고려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1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선대위 첫 회의는 안 후보의 모두발언이 끝나자마자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당 대표이자 상임선대위원장인 박 대표가 당연히 공개 발언을 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갔다.
그는 방송·라디오 인터뷰도 지난 11일을 마지막으로 이틀째 하고 있지 않으며 왕성한 기력으로 메시지를 쏟아내던 페이스북 활동도 최근에는 부쩍 뜸해졌다.
박 대표는 매일 아침 페이스북 또는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비판하는 내용의 글을 올려 ‘문모닝’이라는 조어를 만든 당사자다.
이런 박 대표가 본격적인 대선 국면이 시작되자마자 세간의 예상을 뒤엎고 한껏 몸을 낮춘 채 신중한 태도로 발걸음을 옮기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일까.
정치권에서는 안 후보가 보수 텃밭인 TK 지역에서 지지율이 껑충 뛰어오른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TK 유권자들의 ‘안 후보 지지’는 반문(反文) 정서의 확산에 따른 것인 만큼 해당 지역에서 호감도가 그리 높지 않은 박 대표가 전면에 나설 경우 오히려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등이 ‘안찍박(안 후보를 찍으면 박지원 대표가 상왕이 될 것)’이라는 조어를 만들어 공세를 펼치는 것도 부담스런 대목이다. 박 대표 측 관계자는 “선거운동은 후보 중심으로 가고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윤석기자 nagij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