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압구정 아파트지구에 이어 반포·서초·여의도 등 3개 지구까지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된다. 단지별 개발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도시관리가 기대되지만 해당 지역에 대한 재건축 사업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19일 서울시는 현재 18개 아파트지구 중 처음으로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추진 중인 압구정지구에 이어 이달 말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도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고 밝혔다. 그간 단지별 재건축을 위한 ‘개발기본계획(정비계획)’이 중심이었다면 이제 교통·기반시설·상업지역 등까지 종합 관리하는 ‘지구단위계획’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도시 관리에 나서겠다는 의도다.
이 지역들은 한 블록에 학교·공원 같은 기반시설과 교회·병원·시장·도서관 같은 생활편의시설을 모두 갖추는 ‘근린주구’ 이론에 기반을 두고 계획됐다. 이 때문에 주변 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된 주거기능 위주의 폐쇄적인 생활권이 만들어졌고 도심·한강변 연계 부족 등 도시 공간의 유기적 연계 차원에서도 여러 문제점이 제기돼왔다.
시는 주변 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폐쇄적인 주거기능 위주의 계획을 탈피해 오픈 커뮤니티 및 문화·여가 자족기능 도입 등 공공시설 계획을 통해 도시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세대 수 증가에 따른 주차 수요 증가 등을 고려해 광역적 교통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한다.
특히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추진 중인 정비사업은 중단 없이 진행되도록 할 예정이다. 또 주민 요구사항 등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자치구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협력적·보완적인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주민 설문조사, 공청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주민의 환경개선 수요를 파악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도시계획국 내 ‘도시계획정책자문단’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심도 있는 논의도 병행할 방침이다.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시 내 대표적 아파트 밀집지역인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가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되면 각 지구별 특성을 고려하고 공공성을 담보한 도시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며 “특히 변화된 시민들의 생활 패턴과 공간적 여건을 반영하고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미래지향적 주거단지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면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재건축사업 진행 단계에 따라 엇갈리고 있다. 기존 정비사업에는 영향이 없다는 발표에 따라 정비구역 지정이나 용적률·경관 심의 등을 마치는 등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된 곳은 지구단위계획의 영향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의도지구의 경우 전체 11개 단지 6,323가구가 해당하지만 상당수 사업이 초기 단계라 우려가 크다.
65개 단지, 3만1,945가구가 몰린 반포도 크게 다르지 않다. 사업시행인가 직전인 반포주공 1단지나 신반포3차, 경남아파트 등은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신반포 한신4지구·신반포7차·신반포12차·신반포19차 등은 향후 진행 속도에 따라 지구단위계획이 적용될 수도 있다. 반면 22개 단지 1만3,602가구의 서초구는 이미 대부분의 단지가 재건축 마무리 단계라 큰 동요가 없는 상황이다.
안민석 FR인베스트먼트 연구원은 “서초·반포는 사실상 시장의 ‘바로미터’ 성격을 지닌 지역이고 여의도는 이제 재건축이 불붙는 지역인 만큼 이번 지구단위계획 결정은 파장이 클 수밖에 없다”며 “사업 속도에 따라 조합이든 시공사든 당분간 관망세로 갈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이재유기자 030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