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김 후보자가 화려한 관가 복귀의 축하를 받기에는 민망할 정도로 녹록지 않다. 위기의 연속이고 극복해야 할 만만찮은 악재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새 정부는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저성장과 양극화, 민생경제 위기 속에 출범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선 배경 설명이 잘 말해준다. 수출이 그나마 호조를 보인다지만 얼어붙은 소비와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률, 1,400조원의 가계부채 등은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잠재성장률은 2%대로 추락한데다 장기 저성장이 국민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나라 밖 사정은 더 캄캄하다. 도널드 트럼프발 보호무역주의의 대두와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성장둔화 등은 언제든 우리 경제를 위협할 복병이다.
문 대통령은 김 후보자에게 “이른 시일 내에 위기를 극복하고 일자리와 경제 활력을 만들라”고 주문했다. 합리적이면서도 추진력이 강한 그의 역량과 리더십이 기대를 걸게 하지만 문 대통령도 경제부총리에게 컨트롤타워로서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부여하기 바란다. 청와대의 경제참모 직제는 옥상옥 논란을 부를 만큼 중첩된 구조다. 같은 날 선임된 청와대 경제보좌진들의 연배 또한 높다. 그럴수록 경제부총리에게 힘을 실어줘야 뒤탈이 없다. 김 후보자 역시 대선 공약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과정에서 지속 가능성과 현실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노’라는 고언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나라 안팎의 악재 속에 출범하는 1기 경제사령탑의 책무가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