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 김모(28)씨는 2년 넘게 취업에 실패하자 네일아트 전문가로 희망 진로를 바꿨다. 수강료는 200만원에 이르지만 국비지원이 가능한 학원인 터라 큰 부담이 없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오산이었다. 김씨는 “네일아트는 개인지도가 중요한데 20명 넘게 수업을 받다 보니 강의 내내 강사 손만 바라보기에 급급한데다 재료비 등 예정에 없던 자부담이 수십만원에 이른다”며 “재료비만 날리고 취업도 실패했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김씨는 “수업비가 일반 학원보다 저렴하지도 않는데 강의 수준은 턱없이 떨어져 일반 학원으로 다시 다닐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장기간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이 제2의 대안을 찾기 위해 직업훈련 학원으로 몰리고 있지만 부실한 강의와 정보 등으로 피해를 보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학원 이용자들은 부실한 수업 내용과 채용 연계 보장 등을 앞세운 과장 광고를 가장 큰 문제로 꼽는다.
취업준비생 최모씨는 “유명 정보기술(IT)업체와 취업 연계가 가능하다는 설명을 믿고 6개월간 자바(JAVA) 수업을 들었지만 막상 소개받은 곳은 직원 10명 미만의 영세업체뿐이었다”며 “강의 시간 역시 강사 개인 사정으로 바뀌는 등 체계적이지 못했다”고 말했다.
학원 운영 업체들 역시 이러한 점을 솔직하게 시인하고 있다. 한 국비지원 교육업체 관계자는 “시간당 강의료를 최소 15만~20만원 이상 지급해야 수업의 질이 보장되지만 정작 학원 입장에서는 수익을 맞추기 위해 시간당 7만원을 주고 검증되지 않은 강사를 채용하는 관행이 퍼져 있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채용 연계는커녕 전공을 살린 취업자와 평균 임금조차도 자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학원이 상당수”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직업훈련기관 강사 중 훈련교사자격증을 취득한 비율은 16%에 불과하다. 고용부가 신규 채용을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이나 구직을 원하는 실업자 등에게 발급하는 ‘내일 배움카드’ 이용인원이 지난 2015년 15만938명에서 2016년 16만6,898명으로 10.5%가량 늘어난 만큼 엄격한 업체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처럼 취준생을 울리는 영업 행태는 일반 학원에서 국가정보원·승무원 등 특수 직종을 대상으로 수업할 경우 더욱 기승을 부리는 실정이다. 대학가에 따르면 강남 등 일부 지역 승무원학원 역시 외국 항공사와 채용대행을 체결했다는 점을 미끼로 수강생을 모집한 뒤 수개월째 최종면접을 무기한 미루거나 당초 약속보다 훨씬 적은 일부 학생만 1차 면접을 허용하는 등 취준생의 원성을 사는 경우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종로 등 일부 학원가에서는 국정원 출신 강사를 내세워 국정원 대비반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국정원 출신이 국정원 관련 정보를 발설하면 국가정보원직원법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에 앞뒤가 맞지 않는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채용 연계와 같은 과장 광고 등은 제재하기 다소 모호한 구석이 있다”며 “지난해까지는 전문가들의 현장 방문 평가로 직업 훈련 기관들을 평가했지만 올해부터는 훈련생 만족도 등을 대폭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