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업계의 영업이익률이 최근 10년 동안 10분의1로 감소한 가운데 특히 공공공사 전문업체의 경우 사실상 매년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규모와 상관없이 공공공사는 ‘수주하면 무조건 적자’인 셈이다. 이에 따라 조만간 업계는 정부·국회 등에 적정 공사비 책정과 입찰 방식 개선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본지 3월23일자 27면 참조
29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건설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최근 10여년 새 90% 감소했다. 지난 2005년 5.9%에서 2015년 0.6%로 내려앉은 것. 같은 기간 6.1%에서 5.1% 정도로 줄어든 일반 제조업과 비교해도 격차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더구나 공공공사 수주가 많은 기업일수록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협회가 회원사 7,000여곳의 건설공사 실적신고자료를 전수조사한 결과 공공 매출액 비중이 100%인 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은 2005~2015년에 2013년(1.0%)을 빼고는 매년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2005년과 2007~2009년은 영업손실이 최고 18%에 달했다. 최근인 2014년과 2015년도 각각 -6.8%, -2.1%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또 공공공사 전문업체 중 적자업체 비율이 2010년 이후 6년 연속 30%를 넘기고 있다. 이 중 2015년에는 31.6%가 적자를 기록해 10년 전보다 10%포인트 늘어났다. 공공공사 비중이 10% 미만인 업체보다 적자업체 비율(9.2%)이 3배 이상이다.
이 같은 상황은 대형 업체도 마찬가지다. 3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공공건설공사비 산정실태 및 개선 방향’ 리포트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40개 사 중 대형 업체 14곳의 공공공사 영업이익을 조사한 결과 11개사, 80% 가까이가 적자였다.
한편 이 같은 현실을 알리기 위해 대한건설협회를 비롯한 유관단체·건설사들은 이번주 정부와 국회 등에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2015년 정부가 표준시장단가를 도입하면서 상대적으로 시공단가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적정 공사비의 8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조준현 대한건설협회 정책본부장은 “수주해봐야 적자임을 뻔히 알면서도 회사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공공공사에 나서는 기업이 많다”며 “적정 공사비 책정, 가격경쟁 위주의 발주 방식 개선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재유기자 030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