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국회 인준동의 과정에서 나타난 파행과 잡음은 이 신임 총리 앞에 놓인 산적한 과제의 해결이 만만치 않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 밝힌 새 국정 운영 키워드인 ‘협치’가 작동하기에는 여소야대의 정치 현실은 확연히 달랐다. 당장 이 총리의 인준안 통과와 별개로 야권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해 지명 철회를 주장하면서 반대하고 있다.
이런 정치지형 속에서 이 총리가 풀어야 숙제들은 많다. 아직까지 임명되지 않은 국무위원 등 주요 인사에 대한 인사 제청권을 행사해야 하고 6월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 개편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새 정부의 골격에 해당하는 이들 사안 대부분에 대해 야권은 따질 것은 따져보겠다며 날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11조원 안팎의 추경 예산안의 경우 한국당은 물론 이번 총리 인준 통과에 결정적 기여를 한 국민의당조차 ‘공공 일자리를 위한 재정투입’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국무총리는 중앙행정기관을 지휘·감독하면서 대부분 정부 입법에 대해 대통령을 대신해 국회를 설득해야 한다. 이 총리는 우여곡절 끝에 인준된 만큼 진정한 협치를 위해서는 입법부와 행정부의 소통에 진력해야 한다. 소통은 쌍방향인 만큼 대통령에게도 필요하다면 쓴소리를 할 수 있어야 이 총리가 인준 과정의 오명을 벗고 진정한 ‘협치 총리’로 거듭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