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등 중동 4개국이 5일(현지시간) 카타르와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 카타르가 이들 국가의 이란 적대정책을 비판한 것에 대한 보복성 조치다.
사우디 국영 SPA 통신은 이날 “극단주의와 테러리즘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여러 종파적 조직과 테러조직을 포용하는 카타르와 외교관계 단절을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의 국교 단절 선언 뒤 UAE, 이집트, 바레인 정부도 뒤이어 카타르와의 단교에 동참했다.
단교 발표 직후 해당 국가들은 카타르 육로 통행과 더불어 항공기 및 선박의 왕래를 전면 차단했다. UAE와 이집트는 자국 내 카타르 국적자들에게 48시간 이내에 자국을 떠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카타르 정부는 곧바로 성명을 내고 “아랍국가들의 외교관계 단절은 정당화할 수 없는 유감스러운 조치”라고 밝혔다. 카타르 알우데이드 공군기지에 1만여 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는 미국도 관계 국가 간의 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 같은 걸프 국가들과 카타르의 극한 대립은 종파(수니파)와 혈통(아랍계)적으로 같다는 것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의 원인은 카타르가 사우디의 적성국인 이란과 대화채널을 유지하는 등 온건한 관계를 유지해온 것이 주요한 이유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사우디 정부도 이번 단교선언 후 “이번 단호한 조치는 카타르 당국의 수년에 걸친 전반적 위반사항 탓”이라고 밝혀 이러한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최근 카타르 국영통신 QNA은 지난달 23일 셰이크 타밈 빈하마드 알타밈 카타르 국왕이 군사학교 졸업식 연설에서 “이란을 강대국으로 인정한다. 이란에 대한 적대정책을 정당화할 구실이 없다”고 미국과 중동 주변국의 이란 적대정책을 비판한 내용을 보도했다. 해당 기사가 보도된 후 논란이 커지자 카타르는 이를 해킹에 의한 ‘가짜 뉴스’라며 즉각 삭제하고 진상 조사에 착수했지만, 사우디 등은 QNA와 알자지라 등 카타르의 주요 언론사 사이트를 차단하며 추가 대응을 시사한 바 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