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식업체 수는 지난 2014년 기준 총 65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국내 전체 인구가 약 5,132만명이었으니 음식점은 인구 78명당 1개꼴로 있는 셈이다. 실제로 집 밖에 나서면 가장 빈번하게 마주치는 상점이 음식점·편의점 정도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렇게 오가며 눈도장을 찍어둔 음식점을 이후에 찾을 때면 이미 없어진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국내 외식업체의 폐업률은 약 23.4%에 달해 타 업종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음식점 4곳이 문을 열면 그중 1곳은 문을 닫는다는 것이다. 외식업체의 폐업률이 이렇게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 ‘신고’만 하면 누구나 외식업체 영업을 할 수 있는 낮은 진입장벽,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음식점들의 난립과 시장 포화, 외식업체 간에 치열하게 전개되는 과당경쟁 등을 꼽지 않을까 하며 이는 실제로도 매우 중요한 이유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필자는 외식업체의 높은 폐업률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외식업에 대한 ‘정보 부족’을 들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정보의 양이 아닌 질적 결핍을 말한다.
현재 외식업과 관련한 정보들은 절대적인 양도 적을뿐더러 그마저도 오래되고 획일적이며 편향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법률 개정이나 정책 개발 등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단위가 아닌 개인의 창업이나 매장 운영과 같이 작은 단위의 경제활동에서도 불확실성과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정보들이 필요하다. 외식업에 대한 정보 부족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해 결과적으로 개별 업체들의 폐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가적인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쉽게 말해 ‘치킨집은 포화 상태라 경쟁이 치열하다’ ‘한식집은 식재료비의 비중이 높아 수익이 높지 않다’ ‘직영점 수가 많은 가맹본부일수록 생존율이 높다’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각 개인이 외식업에 종사할지 말지, 외식업에서도 어떠한 업종을 선택할지, 사전에 무엇을 고려하고 준비할지를 확인하고 결정할 수 있다. 외식업체의 폐업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외식업 경영주체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외식정보를 생산해 제공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