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는 지난 4~5월 관내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한 ‘수원시 저출산·고령화 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시민 욕구 조사’결과 응답자의 30.7%가 ‘주거 문제’를 가장 많이 꼽았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고용 문제’(청년실업·비정규직)가 29.1%, ‘자녀 출산·양육 문제’(13.5%), ‘자녀교육 비용 문제’(9.8%), ‘결혼 비용 문제’(6.2%),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5.5%) 순이다.
수원시는 이날 수원시청에서 ‘수원 미래기획단 전체 회의’를 열고 ‘인구절벽시대에 대응하는 미래전략연구’ 진행 상황을 보고했다.
연구는 ‘수원시 저출산·고령화 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시민 욕구 바탕으로 이뤄진다. 이번 설문조사는 고용출산, 육아, 사회문화건강, 노인복지, 수원시 정책 도움도, 주거환경 등 6가지 분야에 대해 이뤄졌다.
‘수원시에 가장 필요한 영유아 양육지원’(2가지 선택)은 ‘문화센터·방문교육·사설학원 이용 시 비용지원’이 53.6%로 가장 높았고, ‘필요할 때 잠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시설’(42.1%), ‘아이 돌보미 가정 파견 서비스’(34.4%), ‘보모·조부모·친인척 대리 양육 시 비용 지원’(28%), ‘양육수당 확대’(19%), ‘출산휴가·육아 휴직 제도 개선’(14.1%)이 뒤를 이었다.
노인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일자리는 응답자의 70.9%가 ‘은퇴 시기’인 65세 이후에도 계속 일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희망 시기’는 ‘65세 이상 70세 미만’이 32.2%로 가장 많았고, ‘65세 미만’이 29.1%, ‘70세 이상 75세 미만’이 28.7%, ‘75세 이상’이 10%였다.
‘노년기에 경제활동을 하고 싶은 이유’는 ‘생계비 마련’이 46.3%로 가장 높았고, ‘건강 유지’(15.8%), ‘능력(경력) 발휘’(12.8%), ‘용돈이 필요해서’(8.8%), ‘사람들과 사귈 수 있어서’(6.4%), ‘자아실현’(5.8%) 순이었다.
‘노후생활에서 중요한 것’(2가지 선택)은 ‘경제적 안정 및 여유’(74.2%)와 ‘건강’(7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가족’ 14.5%, ‘일자리’ 13.6%, ‘이웃, 친구 등 사회적 관계’ 12.1%, ‘취미·자원봉사 활동’ 8.1% 순이었다.
‘수원시가 관심을 둬야 할 노후 정책’을 묻자 ‘노후 소득 지원’이 36.6%로 가장 많았고, 노후 취업 지원 18.7%, ‘문화·여가 복지 서비스’(16.3%), ‘요양보호서비스’ 12%였다. ‘수원시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장 우선해야 할 정책’으로는 ‘양질의 공공일자리 확대’가 33.8%로 가장 많았다.
수원시 거주 만 18세 성인남녀 612명(온라인 설문)과 수원시 소재 204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일자리’ 관련 설문도 진행했다. 구직자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안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하고 싶은 기업 유형’은 26.4%가 ‘공기업’(공사·공단), 23.4%가 국가기관을 선택했다. ‘대기업’은 14.7%, ‘중소기업’ 13.7%, ‘외국계 기업’은 8.5%에 그쳤다.
‘직장을 구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2가지 선택)는 ‘임금’이 67.8%로 가장 많았고, ‘복지후생제도’ 29.7%, ‘근로시간’ 29%, ‘일과 적성의 적합성’ 17.2%였다. ‘희망연봉’은 ‘3,000만~4,000만 원’이 35.6%로 가장 많았고, ‘2,000만~3,000만원’이 20.7%, ‘5,000만 원 이상’이 18.6%, ‘4,000만~5,000만 원’이 16.1%였다. 구직자의 70.4%가 3,000만 원 이상 연봉을 원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실제 연봉은 구직자의 눈높이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 소재 204개 사업체의 연봉 수준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대졸 신입사원 연봉은 ‘2,000만~2,500만 원’이 36.8%로 가장 많았고, ‘1,500만~2,000만 원’이 22.1%, ‘2,500만~3,000만 원’이 18.1%였다. 구직자들의 70%가 원하는 ‘3,000만 원’ 이상을 지급하는 업체는 8.3%에 불과했다.
고졸 신입사원 연봉은 대졸 사원에 못 미쳤다. ‘1,500만~2,000만 원’이 42.6%로 가장 많았고, ‘2,000만~2,500만 원’이 26%, 최저 임금에도 못 미치는 ‘1,500만 원 미만’도 10.3%나 됐다.
수원시 각 구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5점 척도(1점 매우 불만족, 5점 매우 만족)로 조사한 결과 종합만족도는 팔달구가 3.86점으로 가장 높았다. 장안구(3.83점), 영통구·권선구(3.79점)도 큰 차이가 없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