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내년부터 저소득층에 쌀·밑반찬을 사 먹을 수 있는 ‘식품바우처’를 준다. 임상영양사를 배치해 영양 고위험군에 속하는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영양 상태를 고려한 ‘영양꾸러미(식품패키지)’도 제공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먹거리 마스터플랜’을 20일 발표했다. 시가 직접 나서 시민의 ‘최소한의 먹을 권리’를 챙기겠다는 복안이다.
박원순 시장은 “경제적 이유로 먹거리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가구가 아직도 18만 가구(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달한다”며 “먹거리야말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먹거리 기본권’은 서울시민 누구나 경제적 형편이나 사회·지역·문화적 차이로 굶거나 안전한 먹거리에 접근하는 데 불편을 겪지 않아야 한다는 개념이다. ‘먹거리 기본권’을 들고 나와 대대적 정책을 펼치는 건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라는 게 서울시 측 설명이다.
시는 우선 내년부터 임상영양사를 배치해 영양 고위험군에 속하는 65세 이상 어르신에 ‘영양꾸러미’를 제공할 계획이다. 영양꾸러미는 지병이나 치아 상태 등을 고려해 삼키기 쉬운 반조리 제품, 영양보충 음료 등 맞춤형으로 제공된다. 기존 쌀, 김치 중심에서 벗어나 영양상태를 고려한 질적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인 셈이다.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중 먹거리 지원이 필요한 가구에 대해 밑반찬 등 식료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식품바우처’도 내년부터 새롭게 도입한다. 식품바우처의 지원금액, 지원절차 등 세부적인 내용은 올 하반기 실시 예정인 ‘서울 먹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결식아동과 청소년들을 위한 급식 서비스도 확대한다.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따뜻한 집밥 같은 ‘도시락형 급식 배달’을 기존 주1회에서 내년부터 주 2회로 늘린다.
자치구와 농촌을 1대 1로 짝지어 생산(산지 생산자)·유통(자치구 공공 급식센터)·소비(서울시민) 체계의 ‘식재료 공공조달 직거래시스템’을 구축, 어린이집·지역아동센터 등 공공 시설에 친환경급식도 제공할 방침이다.
궁극에는 서울 전역의 어린이집 6,380곳(국공립·민간·가정어린이집 포함)에 다니는 어린이 22만9,000명이 친환경 식자재로 만든 안전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지금은 식자재의 절반을 친환경 재료로 쓰는 어린이집이 5곳 중 1곳(22%)에 불과하다.
박 시장은 “서울은 농촌으로부터 믿을 수 있는 식재료를 공급받고 동시에 농촌경제는 활성화되는 일석이조”라며 “최근 1호 협약을 맺은 강동구·완주군에 이어 2019년까지 25개 전 자치구마다 직거래할 농촌을 선정하고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올해는 50억 원을 투입해 3~4개소를 추가 설치한다. 당장은 강서 친환경유통센터 유휴시설(1,440㎡)을 개보수해 인근 자치구가 사용하는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한다.
이 밖에 과일 자판기 등을 구청이나 지하철 등 공공시설에 설치하는 등 시민의 건강한 먹거리에도 신경 쓸 계획이다.
박 시장은 “먹거리 문제를 건강과 안전의 영역에서 나아가 복지·상생·(친)환경 같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으로 확장 시키는 등 먹거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