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9일 앞둔 20일 미국 CBS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새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인터뷰에서 “(북한과의) 대화 자체가 목표가 아니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전제 조건 없는 대화를 말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단순히 북한과 대화만을 하는 것이 아닌 압박·제재와 대화를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을 쓰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또한 사회자가 “북한이 비핵화를 하기 전 북한과 대화를 한다는 구상은 미국의 정책과 근본적으로 배치된다”고 질문하자 “그것이 미국의 정책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배치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새 정부의 정책이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의 압박과 관여’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에 17개월간 억류됐다가 지난 13일 의식불명 상태로 송환된 뒤 숨을 거둔 미국의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유족에게 CBS와의 인터뷰에서 위로의 말을 보냈다. 그는 북한이 ‘비이성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한 나라’라고 표현했고 “웜비어 학생이 사망에 이르게 된 아주 중대한 책임이 북한 당국에 있는 것은 틀림없는 일”이라고 북한을 거듭 비판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국제 사회가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 따라서 해왔던 제재와 압박만으로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북한과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도 한때는 ‘김정은과 함께 햄버거를 먹으며 대화할 수 있다’, ‘김정은과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영광스러울 것’이라고 말씀하신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저보다 훨씬 더 많이 나간 것”이라며 “공동의 목표를 함께 이뤄낼 수 있다면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과 제가 대통령에 재임하는 동안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보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핵 문제를 미국 외교 문제의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은 것을 언급하며 “그 점을 대단히 높이 평가하고 그런 트럼프 대통령의 자세 덕분에 북핵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고 밝혔다.
이날 문 대통령의 인터뷰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 우호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대통령 특별보좌관의 워싱턴 발언 등으로 미국 정계에서 한국 정보가 북한과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