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시와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펴낸 노동상담 사례집 ‘서울시민과 나눈 노동상담’에 따르면 노동권익센터를 찾은 10∼20대의 80% 가까이가 비정규직이었다. 사례집은 지난해 서울시가 노동현장에서 부당한 처우를 받은 시민 6,644명을 대상으로 한 노동상담 8,647건을 분석한 것이다.
상담을 신청한 청년 가운데 정규직은 17.3%에 그쳤다. 비정규직의 일종이지만 고용 안정성은 보장된 무기계약직은 1.5%에 불과했다. 반면 단시간 근로자 21.6%, 기간제 근로자 23.9%, 일반 임시직 26.6%, 파견직 1%, 용역 1% 등 비정규직이 79.8%에 달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센터를 찾아온 10대와 20대 청년은 주로 카페나 식당 같은 소규모 영세 사업장에서 단시간 아르바이트 등으로 일하고 있었다”며 “최저임금을 겨우 넘는 수준인 월평균 133만원가량의 급여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노동상담 유형별로는 ‘임금체불’에 관한 불만이 2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징계·해고 14.5%, 퇴직금 14%, 휴일·휴가 12.6% 등의 순이었다. 비정규직은 임금체불 33.6%, 징계·해고 20.3%, 퇴직금 18.6%, 휴일·휴가 16.4%, 근로계약 9.1% 등의 순으로 불만이 많았다.
센터를 찾은 비정규직 가운데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다는 응답은 59.9%에 머물렀다. 4대 보험 역시 비정규직은 64.8%만 가입했다고 답했다. 특히 비정규직 가운데 일용직과 일반 임시직은 70% 안팎이 근로계약서 작성은 물론 4대 보험에도 가입되지 않아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드러났다.
직종별로 보면 판매직(40.1%), 서비스직(39.3%), 기능원(36%), 단순노무직(27.9%) 등은 임금체불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