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87년 6월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씨 고문치사사건’의 시발이 된 ‘깃발’ 사건 등 학생·민주화 운동으로 세 차례 5년 이상의 옥고를 치른다. 정보기술(IT) 업계에 뛰어들어 나우콤에 이어 인터넷·모바일 시대 코드인 아프리카TV의 대표를 하며 창업 신화를 쓴다. 그 후 민주당의 러브콜을 받아 두 차례 디지털소통위원장을 하며 지난해 4·13 총선에서 온라인 10만 당원 신화를 만들었다.
먹방이나 게임 방송 등 개인방송 플랫폼의 강자로 꼽히는 아프리카TV를 만든 문용식(58·사진) 전 대표의 이야기다. “초기 음란물이 파고들 때 사활을 걸고 막아냈고 다양한 콘텐츠가 꽃피도록 시스템을 만든 것이 주효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앞서 PC통신 시절에도 나우누리 창업 멤버로 정보화 사회의 흐름을 선도했다.
이번 대선 과정에서는 문재인 캠프에서 가짜뉴스대책단장과 디지털특보단장으로 활약하며 4차 산업혁명 정책과 가계통신비 절감, 액티브X와 공인인증서 등의 규제 철폐,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정책에 깊숙이 관여했다. 오는 8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출범을 앞두고 10일 서울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그를 만나 4차 산업혁명 성공 전략에 관해 인터뷰했다.
그는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한 디지털 혁신과 국가 R&D 변화를 거듭 강조했다. “갈수록 미국·중국 등에 비해 기술·데이터·인공지능(AI)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는 IT 강국에서 추락해 IT 갈라파고스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 그의 진단이다. 관료 주도의 재벌경제를 혁신 기업 경제 모델로 탈바꿈시키지 않는 한 미국의 스티브 잡스, 일론 머스크, 래리 페이지, 마크 저커버그, 제프 베저스 등의 혁신가가 나오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는 “공무원의 나라에서 혁신가의 나라로 바꾸기 위해 ‘혁신성장과 공정경제’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혁신 기술과 사업에 대해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환경을 조성해 글로벌 기업과 혁신가·연구자들이 대한민국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세계로 나가는 허브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글로벌 디지털 특구’로 만들자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문 전 대표는 △5세대(5G)이통통신망, 사물인터넷(IoT)망, 스마트 고속도로 등 정부가 과감히 4차 산업혁명 인프라를 지원하고 △공공정보 공개를 과감히 확대하고 빅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민간 창업을 촉진하며 △엑셀이나 아래한글로 공개하는 공공정보도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제공하며 △4차산업혁명위는 부처 간 칸막이 규제 해소와 신구 산업 간 갈등 조정 등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혁신경제를 위해 일정 지역에서 샌드박스식으로 규제를 없애고 연대보증제를 폐지하며 공정경제를 위한 규제는 재정비해야 한다”며 “미국처럼 공공조달은 일정 부분 스타트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쓰도록 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단기 과제 위주로 진행되는 R&D 지원 방식도 연구역량이 왕성한 국내 포닥(Post-Doc, 박사후연구원) 1,000명과 해외 연구자 200명에게 일정 기간 연구비를 맘껏 쓸 수 있도록 해 시너지를 내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젊은이들이 공무원과 대기업만 선호하면 나라의 에너지가 어떻게 되겠습니까. 공공일자리는 마중물 역할이고 본격적인 일자리는 혁신성장에서 물꼬를 찾아야죠. 대통령이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얼마나 권한을 주고 챙기느냐가 중요하고 위원장도 다이내믹하게 민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