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기두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2일 오후 인천항만공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천 내항의 10개 부두운영회사가 통합 과정에서 인력 강제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사업장 전환 배치를 통해 고용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엄 국장은 “다른 현안인 회사별 통합법인 지분율 결정도 정부가 기준을 제시했고 오는 20일까지 각 회사가 지분 매입 또는 매각 의사를 정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1974년 개장한 인천 내항은 모두 8개 부두(46개 선석)로 구성돼 있다.
1997년부터 부두별로 시설 전용운영권 계약을 맺은 1∼3개 부두운영사가 하역을 맡고 있지만 최근 일감이 급격히 줄면서 해마다 이들 10개사가 총 60억∼7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난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일부 회사가 문을 닫아 부두 운영이 차질을 빚거나 갑작스러운 대량 실직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통합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엄 국장은 “정부는 기본적으로 업체간·노사간 자율 합의에 따른다는 입장”이라며 “10개 부두운영사와 인천항만공사 사이에 5년짜리 부두 임대계약이 끝나는 내년 4월 말 이전에 통합 작업이 마무리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인천 내항 부두운영사에는 항운노조 조합원 400명을 포함해 총 740여명이 근무한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부두운영사가 하나로 통합되면 인천 내항에서 사용하는 부두도 22개 선석으로 줄어 160명이 넘는 근로자가 내항을 떠나 다른 사업장으로 배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