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대곶면 거물대리에 사는 조모씨는 집 대문 앞을 제외한 3면이 공장으로 둘러싸인 곳에 산다. 그래도 평소 잔병치레가 거의 없어 걱정을 하지 않았다. 그랬던 그가 지난해 갑자기 쓰러졌다. 병원 진단 결과는 임파선암 4기. 의사는 이미 암이 골수까지 파고들어 더 손 쓸 수 없는 상태라고 했다. 홀로 조씨를 돌보는 부인은 “치료는 포기했고 약으로 근근이 버티는 실정”이라며 한숨지었다. 병마와 사투를 벌이는 사람은 조씨만이 아니다. 바로 옆집 이모씨 역시 혈액암을 앓고 있고 10분 거리에 사는 배모씨도 병원 중환자실 신세를 지고 있다. 거물대리와 초원지리 등은 지난 2013년 이후 ‘죽음의 마을’로 불렸다. 주물공장 등이 집 옆에 들어선 뒤 주민들이 잇따라 쓰려졌다. 6~7년간 암 또는 호흡기질환·심장질환 등으로 유명을 달리한 이들만도 10여명.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을 규제하고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끓었다.
그리고 4년이 지났다. 올해 7월15일 기준 대곶면의 대기유해물질 1~5종 배출공장 수는 402개에 달한다. 서울(88개)의 약 5배, 강원도 전체(395개)를 웃돌며 전국 최고의 난개발지역인 화성시 전체(467개)와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면 단위로만 본다면 전국 최고 수준이다. 국토개발계획을 다루는 입지정책과 더불어 유해물질 배출업소에 대한 감독과 제도 정비가 이뤄졌어야 했지만 실상은 달랐다.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해야 하는 면적 기준이 200㎡에서 500㎡로 완화되는가 하면 창고로 등록한 후 아무 제한 없이 공장으로 용도를 변경할 수도 있었다. 이러는 사이 초원지3리에서는 지난해에만도 주민 6명이 암 등으로 숨졌다.
전문가들은 대곶면 주민들의 피해가 더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015년 거물대리와 초원지리 등에 대한 환경역학조사를 실시했던 임종원 인하대 의과대 교수는 “이곳은 아직도 발암성 중금속 노출도가 높은 곳으로 행정기관의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공장들을 이주시키거나 주거지역과 완전히 분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호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도 “김포시는 이미 난개발 단계를 훌쩍 넘어선 지역”이라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지역 공장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탐사기획팀=송영규 선임기자 skong@sedaily.co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