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은 “무한경쟁과 과도한 시험 부담을 덜어준다”고 도입취지를 설명하지만 절대평가 확대는 한마디로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에 불과하다. 1안을 선택하면 풍선효과로 상대평가 과목인 수학과 국어의 학습 과열을 피할 수 없다. 사교육 의존도가 줄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전면시행이라고 해서 다를 바 없다. 중하위권 학생으로서는 등급을 올리는 기회로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변별력 약화에 따른 수능 정시의 무력화다. 2016학년도 수능 결과를 절대평가로 환산하면 전 과목 1등급은 1만3,388명에 이른다. 이는 2018학년도 서울 주요 7개 대학 정원 1만7,420명의 80%에 육박한다. 대학으로서는 변별력 확보를 위해 면접을 강화하거나 정시 비중을 줄이려고 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정시를 택할 수밖에 없는 재수생과 내신성적이 나쁜 수험생은 막판 역전의 기회도 줄게 된다.
수능 불신은 수시 만능주의를 부추길 우려가 크다. 가뜩이나 대표적 수시인 학생부종합전형이 선발 공정성 시비로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지 않은가. 수능 난이도 조절로 절대평가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출제 난도를 높여 이른바 ‘불수능’이 된다면 고교 교실의 혼란을 초래할 절대평가를 굳이 도입할 이유가 없다. 절대평가제가 학업과 사교육 부담을 저절로 줄여줄 것이라는 생각은 착각이다. 절대평가는 교육을 바로잡는 선택지가 아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