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개편은 애초부터 무리수였다. 절대평가로 전면 전환하면 변별력이 상실된 수능은 무력화하고 반면 4개 과목만 전환하면 상대평가인 수학과 국어에 대한 사교육 의존도를 되레 부채질하는 꼴이다. 1안과 2안 모두 선택지가 못 되는 것이다. 수시 전형의 난맥을 그대로 둔 채 수능 중심의 정시만 반쪽 개편하다 보니 문제가 더 꼬여버렸다. 단 3주 만에 입시제도를 바꾼다는 결정부터가 졸속이다. 수능 개편을 둘러싼 교육현장의 혼선은 전적으로 교육 당국의 책임이다. 그런데도 김 부총리는 사과는커녕 “이전 정부의 불통이 아니라 소통의 교육부로 거듭나고 있다”고 하니 말문이 막힌다.
교육과정이 바뀌었으니 수능 역시 개편될 필요성이 있기는 했다. 그렇다면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수능과목을 조정한 뒤 수능 평가방식 등 정시의 골격은 수시전형과 함께 추후 신중하게 손질했어야 옳았다. 대선 공약인 절대평가에 억지로 꿰맞추다 보니 낭패를 본 것이다. 설익은 공약을 교육현장에 실험하는 것이 교육적인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