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이 영국과 사우디아라비아·체코 등 원전 도입국 수반과 문재인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요청한 것은 원자력 시장의 패러다임이 기술적 완성도와 공급 기업의 신뢰도에서 국가 대항전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도입국은 원전 건설만 놓고 파트너를 선택했다면 현재는 국가 간 전략적 파트너로의 발전까지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지가 19일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입수한 지난 10일 원전수출전략협의회 문건에 따르면 한전은 대통령의 영수회담, 양국 간 ‘핫 라인’ 구성과 지속적인 장관급 면담 등을 요구했다. 한수원도 대통령 순방 등 정부 고위급 회담 시 원전 협력 ‘어젠다’를 상정해 국가 간 원전 협력양해각서(MOU) 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중국이 지난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터키에서 국영 원자력기업(CNNC)을 대표단에 포함시켜 아르헨티나와 총 사업비 7조원에 달하는 원전 건설 수주를 따낸 것처럼 국제정상회의나 양자 간 정상회의에서 원전 수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의지 표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전은 대통령의 ‘고공플레이’와 함께 원전 수출 과정에서 사회간접자본(SOC), 방산 사업 투자를 유인책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의 원전 수출 체계 구축을 요청했다. 세계 원전 시장에서 막대한 재원과 다양한 사업을 결합해 공략하는 중국과 러시아를 기술력 우위만으로는 제압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러시아는 인도에 원전 2기를 수출하면서 미그기 29대 등 군수물자 지원, 인도 가스공사와의 LNG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파키스탄에 원전을 수출한 중국도 양국 간 철도·도로·가스관 등 460억 달러 규모의 SOC 개발을 약속했다.
한전은 원전 사업의 주요 재원 조달처인 수출입은행 등 수출신용기관(ECA)의 출자 규모 증액과 금리 인하도 요구했다. 2015년 이집트 원전 사업 건을 두고 러시아와 펼쳤던 수주전에서 패했던 경험이 반영된 것이다. 당시 한전은 수은과 무역보험공사로부터 80억달러의 금융조달 방안을 제시했지만 250억달러의 대규모 재원 조달을 제시한 러시아에 밀렸다. 또 미국 수출입은행 등과의 공조나 시중은행과 연기금 등의 참여 확대도 필요하다는 것이 한전의 요구사항이다. 현재 수은은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의 재원 조달 방안으로 미국 수출입은행과 일본 국제협력은행의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주무부처가 탈(脫) 원전 기조와는 별개로 원전 수출 지원을 강화하는 투 트랙 전략을 펼치는 가운데 원전 2기 도입을 추진하는 체코가 한국의 원전 안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낳고 있다.
한수원에 따르면 방한 중인 페트르 크르스 체코 원자력안전위원회 부위원장 일행이 지난 18일 부산시 기장군 한수원 고리 본부와 울산시 울주군 새울 본부를 돌아본 뒤 만족감을 드러냈다. 크르스 부위원장은 “체코의 규제 요건까지 적합하게 잘 반영돼 안전하게 설계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원자력 안전 문화가 잘 정착돼 있고 발전소 설계도 잘 돼 있어 규제기관 입장에서 봤을 때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고 밝혔다. 크르스 부위원장은 특히 한수원이 개발한 노형인 EU-APR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EU-APR는 APR-1400을 유럽 시장을 겨냥해 유럽 안전 조건에 맞춰 개량한 것으로 최근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 본심사를 통과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체코 신규 원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하기 위해 현지 기자재 공급망 구축, 현지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 등 여러 수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