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무조정국은 지난 6월26일 ‘당에서는 파견근무 시행을 위해 희망 당직자의 수요를 파악하고자 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문자메시지에는 ‘파견근무지는 정부기관’ ‘파견근무 기간은 1년’ ‘순환보직 운영’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민주당 측은 이에 “해당 문자메시지에는 공공기관의 ‘공’자도 나오지 않는다”면서 “‘정부기관’은 ‘정부부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무선에서 표현을 그렇게 했을 뿐”이라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춘석 사무총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공공기관과 관련해서는 수요조사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낸 게 전혀 없다”면서 “청와대나 정부부처 파견에 대한 이야기였을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 민주당 당규의 파견근무 조항에는 “사무직 당직자의 전문성 강화 및 업무 교류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정부기관 등에 파견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한편 야권은 공세를 이어갔다. 정부기관에 공공기관과 공기업 등이 모두 포함된다는 논리에서다. 바른정당은 “신악이 구악보다 심하다”면서 민주당에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민간기관 수장을 권력 위세로 내쫓고 코드 맞는 사람으로 채우려는 의도가 명백히 드러났다”면서 “지난 정부에서 ‘낙하산 인사’라고 비판하더니 정작 자신들의 행위는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이해하는 사람들이라는 말로 포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 전병헌 정무수석이 ‘밥그릇 챙기기 인사는 국민 기만이고 배신’이라고 했는데 이 말 그대로 돌려드리겠다”고 일갈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정책위의장 또한 “공공기관을 정부 산하기관의 전리품으로 생각하는 것”이라면서 “민주당이 점령군 행세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정연기자 ellenah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