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성장의 질이 문제다. 이번 지표의 속살을 한 꺼풀 벗겨보면 안심은커녕 걱정부터 앞선다. 우리 경제의 70%쯤을 차지하는 소비와 설비투자의 부진이 여간 문제가 아니다. 이들 두 가지 성장축은 GDP 증가율이 0.6%에 그쳤던 전 분기보다 못하다. 소비 증가율은 1%에서 0.7%로 떨어졌고 설비투자 증가율은 5.2%에서 0.5%로 곤두박질쳤다. 내수경기의 척도인 소비와 투자의 부진은 곧 질 나쁜 성장, 고용 없는 성장으로 귀결될 우려가 크다. 청년 체감실업률이 20%를 넘어 최악으로 치닫는 게 작금의 상황이다.
우리 경제가 탄탄한 회복경로로 가고 있다는 판단은 아직 이르다. 오히려 앞으로 닥쳐올 악재가 겹겹이 쌓여 있다. 긴축 바람이 첫 번째다. 한은은 이미 금리 인상의 경고등을 켰고 금융권의 가계대출도 죄기 시작했다. 추경의 효과는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럴수록 민간 활력을 높이는 것이 상책이다. 최저임금·법인세 인상 추진의 역풍을 결코 가벼이 봐서는 안 된다. 기업의 투자심리를 되살리지 못하면 일자리와 소비도 덩달아 흔들린다. 깜짝 성장을 과신하다가는 오판하기 일쑤다. 지금이야말로 금리정책을 포함한 거시경제정책 전반의 정교한 운용이 뒷받침돼야 할 때다. 추경 효과가 끝나고 수출마저 흔들린다면 긴축과 맞물려 우리 경제가 설상가상의 상황에 빠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