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명의’ 신장이식이 급증하는 이유는?…전북대병원 유희철 교수 출연

‘명의’ 신장이식이 급증하는 이유는?…전북대 유희철 교수 출연




27일 방송되는 EBS1 ‘명의’에서는 ‘신장이식이 급증한다’ 편이 전파를 탄다.

다른 장기와 달리 한 번 망가지면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신장. 신장은 기능이 15% 이하로 떨어지면 결국 투석하거나, 이식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나 투석은 일주일에 3번, 하루 4시간씩 소요되며 그로인해 제대로 된 일상생활을 할 수 없다. 그렇다고 신장이식도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 기증자가 턱없이 부족하며, 이식의 조건들을 맞추기까지 까다롭고,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공여자와 수혜자 간의 혈액형, HLA 항원 수 등 몇몇 조건들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식할 수 있는 방법들과 의학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한계를 넘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낸 신장이식 수술,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전북대학병원 간담췌혈관외과 유희철 교수와 함께 ‘신장이식이 급증한다’편에서 알아보자.

▲ 쉿, 소리 없이 망가진다! 침묵의 병, 신부전

어느 날부터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쉽게 피로해졌던 김 씨 (54세). 그는 단순히 살이 빠지고, 피곤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연히 병원 검진을 통해 신장 기능이 15%밖에 남지 않은 만성 신부전 5기를 판정받았고, 결국 신장이식까지 받아야만 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가 느꼈던 체중감소, 피로감, 가려움증이 바로 신부전의 증상이었다. 사실 김 씨뿐만 아니라 많은 신장 질환 환자들은 전조 증상을 가볍게 넘겨버린다. 그래서 그런지 최근 5년간 만성 신부전 5기 환자가 24% 증가하였으며, 그로 인한 투석, 이식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소리 없이 망가지는 신부전, 투석과 신장이식까지 가지 않도록 예방할 방법이 있다면 무엇일까? 결코 지나쳐선 안 될 신부전의 다양한 전조증상과 초기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자.

▲ 당뇨와 고혈압, 신장까지 무너트리다



신부전 환자들이 가장 많이 앓고 있던 고질병이 바로 당뇨와 고혈압이었다. 2년 전부터 당뇨 치료를 받았던 박 씨(가명). 꾸준한 약물치료에도 당 수치는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당뇨 합병증으로 만성신부전 4기 판정을 받았다. 앞서 언급된 김 씨도 15년 전부터 앓아온 고혈압으로 인한 신부전이었다. 단순한 우연일까? 아니었다. 실제로 만성신부전 환자의 약 70%가 당뇨와 고혈압이 원인이었다. 이렇게 당뇨와 고혈압은 신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당뇨와 고혈압인 환자들은 늘 신장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당뇨와 고혈압 환자들에게 새로운 빨간불이 켜진 신장 질환! 신장까지 악화하지 않기 위해서 당뇨, 고혈압 환자들이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 신장이식, 한계를 뛰어넘다

혈액형이 다르면 수혈도 어렵듯이, 신장이식도 불가능할까? 그렇지 않다. 국내에서 10년 전부터 시행된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5년 생존율도 무려 90%에 달한다. 또 다른 이식의 조건 중 하나인 HLA 조직 적합성 검사 역시 6개의 HLA항원 중 하나만 일치하더라도 이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식 수술 후 평생 복용해야 하는 ‘면역억제제’의 발전으로 환자들이 겪고 있는 부작용도 줄어들고 있다. 명의와 함께 한계를 넘어 새로운 도전에 맞선 신장이식 수술에 대해 ‘신장이식이 급증한다’ 편에서 만나보자.

[사진=EBS1 ‘명의’ 예고영상캡처]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