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1984, 정보과잉사회에서 진실에 다가서지 못하는 우리 이야기"

국립극단 연극 '1984'의 배우 이승헌 인터뷰





연희단거리패 소속 배우 이승헌(45·사진)의 작품을 보고 나오는 관객들에겐 공통으로 잔상이 남는다. 눈빛이다. 말을 하지 않아도, 움직이지 않아도 눈에 담긴 이야기와 감정들이 무대를 넘어 객석으로 전해진다는 것. 그런 그를 좀 더 다양한 무대에서 만나고 싶다는 것은 팬들의 욕심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승헌은 단 한 번도 연희단거리패 작품 이외의 무대에는 서지 않았다. 그러니까 지난달 20일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막을 올린 한태숙 연출의 연극 ‘1984’는 그의 첫 외도였던 셈이다.

“‘1984’니까요. 고민할 필요도 없었어요. 지금 이 작품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뿐이었죠.”

이승헌은 이 작품에서 감시국가 오세아니아에서 외부당원으로 기록을 조작하며 살아가는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 역을 맡았다. 5일 막이 오르기 전 극장에서 만난 이승헌은 예의 강렬한 눈빛으로 “지금 같이 정보가 쏟아지는 시대에 과연 우리는 진실을 알고 있는 걸까” 하고 대뜸 물었다.

“‘1984’는 감시가 일상화되고 너무 자연스러워서 순응할 수밖에 없는 이 시대에 더욱 시의성 있는 이야기죠. 수많은 정보에 노출되지만 우리는 진실에 다가서고 있는 걸까요. 가짜뉴스가 여과 없이 쏟아지고, 도덕·정의·의리 따위의 학교에서 배우는 사회적 덕목이 과연 이 사회를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이 현실이 1980년 5월 광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바로 옆 동네 사람들조차 몰랐던 당시보다 낫다고 할 수 있을까요.”

한태숙 연출은 윈스턴 역할을 캐스팅하면서 제일 먼저 이승헌을 떠올렸다고 한다. 생김새 자체가 책에서 본 조지 오웰 같기도 하고 의지가 강해 보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좀 피폐한 느낌이 상상 속 윈스턴과 어울린다 싶었단다.

내부당원 오브라이언(배우 이문수)의 미끼를 문 윈스턴 스미스(배우 이승헌)는 사상경찰에게 체포되고 끔찍한 고문을 당한다.


한 연출의 생각은 적중했다. 윈스턴을 표현하기 위해 이승헌은 아무것도 더하지 않았다.

“옛날에 ‘햄릿’ 역을 맡았는데 연습하다가 ‘작은 그릇의 내가 이렇게 큰 그릇의 인물을 연기하는 게 고통스럽다’며 울부짖으며 고통을 호소한 적이 있어요. 그때 이윤택 선생(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이 ‘햄릿은 존재했던 인물이 아니고 네가 연기하는 그게 햄릿이라’고 하더군요. 그때부터 배역을 소화할 때 내 안에 그 역할과 유사한 유전자를 꺼내 쓰는 훈련을 했어요. 제가 윈스턴을 잘 소화했다면 제 안에 윈스턴이 있었던 거죠.”



또 다른 외부당원 줄리아(배우 정새별, 오른쪽)와 사랑을 나누게 되는 윈스턴 스미스(배우 이승헌)


막이 오르고 그에게 가장 많이 쏟아지는 질문이 ‘한 연출과의 호흡’이다. 그에겐 첫 외부작업이기도 하고 한 연출 역시 무대에 오르기 전 꼼꼼한 작품 분석으로 정평이 나 있는 탓이다. 특히 원작을 각색한 이 작품은 ‘미래의 북클럽’에서 ‘1984’를 읽는다는 액자식 구성으로 시점을 뒤흔들었고 ‘1984’를 읽은 이들도 잘 읽지 않는 ‘부록’ 부분 ‘신어의 원리’에서 많은 내용을 가져와 난해한 부분이 많았다고 한다.

“‘1984’는 텍스트가 특히 중요하고 장면의 밀도도 커요. 특히 이번에는 원작이 아닌, 영국의 극작가 겸 연출가 로버트 아이크·던컨 맨밀런이 쓰고 2013년 영국 노팅엄 플레이하우스에서 초연한 각색본을 가지고 온 터라 우리 현실에 맞게 윤색하는 과정이 중요했어요. 물론 연희단거리패는 이런 경우에도 바로 대본 들고 스탠딩 연습을 시작하죠. 대본 분석 작업을 이렇게 오래 한 건 처음인데 구체적으로 인물을 구축할 수 있어 좋았어요.”

연극 ‘1984’에서 일기를 쓰는 윈스턴 스미스(배우 이승헌). 오세아니아에서 모든 기록은 불법이다.


목숨 걸고 일기를 쓰고 사랑을 나눠야 하는 ‘1984’의 디스토피아가 현실이 되도 이승헌은 연극 무대에 설 수 있을까.

“어떤 시대가 되도 연극은 예술 장르 중 가장 끝까지 살아남을 겁니다. 연극 ‘도솔가’에 이런 대사가 있어요. ‘자기만의 방 속에 국가를 꿈꾼다.’ 요즘 보면 사람들이 자기만의 방을 가지고 그 안에서 살아가고 소통하고 대안적 시대를 꿈꾸잖아요. 하지만 세상은 더 야만적이고 잔혹해지고 있죠. 이럴 때 사람들은 방에서 나와 다시 어울리고 싶은 욕구를 느낄 겁니다. 이럴 때 연극은 제 역할을 할 겁니다.” 명동예술극장 19일까지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 사진제공=국립극단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