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본인을 둘러싼 각종 의혹으로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졌다. 검찰은 현재 화이트리스트, 군 사이버사 댓글, 다스 실소유주 의혹 등을 겨냥한 수사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제2롯데월드타워 인허가 과정에 특혜 의혹이 있다’며 국민감사 청구절차에 돌입했다. 이명박 정권을 겨냥한 검찰 수사에 정치권의 의혹 제기까지 더해지면서 이 전 대통령이 궁지에 몰리고 있는 모양새다.
정치권에서는 ‘제2롯데월드타워 특혜 의혹’을 겨냥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민감사 청구 움직임을 두고 이미 예견된 일로 받아들이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9일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적폐현황’이라는 49쪽 분량의 문건에서 감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게다가 제2롯데월드타워 인허가 과정에 이명박 정부가 특혜를 줬다는 정황도 국정감사에서 여럿 제기됐다. 검찰 안팎에서는 박 의원의 국민감사 청구가 감사 외에도 실제 검찰 수사로 이어지는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감사에서 결정적 단서가 드러나면 검찰이 곧바로 수사에 착수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줄 수 있어서다. 국정감사에서 제2롯데월드타워 인허가 과정을 겨냥한 박 의원의 의혹 제기에 문무일 검찰총장이 “구체적인 범죄 혐의가 발견되면 엄중 수사하겠다”고 답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현재 이 전 대통령을 겨냥해 세 방향으로 진행 중인 검찰 수사가 앞으로 네 갈래로 나뉘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검찰이 화이트리스트, 군 사이버사, 다스 실소유주 의혹 등 각종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점은 이 전 대통령 입장에서 두려워할 만한 대목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양석조 부장검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 화이트리스트 의혹을 겨냥해 대기업 20여군데에 10년 치 사회공헌기금 자료를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최근에는 삼성그룹 김모 전무와 LG그룹 허모 사장도 불러 조사했다. 게다가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검사)이 김관진 전 장관을 구속하면서 다음 타깃이 이 전 대통령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검찰이 김 전 장관 구속영장에 이 전 대통령을 공범으로 적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으로 수사 결과에 따라 피의자로 검찰을 찾게 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화이트리스트나 군 사이버사 댓글 의혹 수사 과정에서 나온 진술이나 증거만으로 이 전 대통령을 피의자로 단정하기 어려운 만큼 검찰이 제2롯데월드 특혜 의혹 등 다른 방향 수사로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검찰 안팎에서 연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 조사가 가능하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 이유도 현재 그가 처한 상황과 관련이 깊다”고 지적했다. /안현덕·김민정기자 alway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