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구상이 뜻대로 이뤄진다면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운 일이다. 중국과 미국에 대한 의존을 줄인다면 사드 보복이나 자국 우선주의의 파고를 피해갈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다. 중국과 일본은 아세안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각각 ‘일대일로(一帶一路)’와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물량공세를 펼치고 있다. 우리에게도 아세안은 상당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아세안 무역흑자는 300억달러를 넘어 미국보다 많다. 이처럼 아세안은 성장성이 무궁무진한 시장이지만 아직 우리는 값싼 노동력 공급지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세안에서는 한국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은 상품교역 중심인 아세안과의 관계를 기술과 문화예술 등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교통과 에너지, 수자원 관리, 스마트 정보통신같이 해당 지역이 필요로 하는 협력을 강화해나가겠다는 것이다. 맞는 방향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세부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단순한 경협확대가 아니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부터 마련하는 게 순서다. 아세안을 잘 아는 지역 전문가를 키우고 외교에서도 4강 못지않은 인재를 충원하는 것은 그 첫걸음이다. 아세안의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해 심리적 격차를 줄이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신남방정책이 ‘말의 성찬’으로 끝나지 않도록 세심한 준비가 필요한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