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사찰재정이 불투명한 이유로 금권선거와 미흡한 승려복지를 꼽고 있다. 조계종단 내 선거제도의 개혁과 승려들을 위한 복지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폐쇄적 회계운용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조계종의 경우 행정업무의 수장인 총무원장과 국회의원 격인 종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격인 각 교구본사 주지 등 요직이 선거를 통해 뽑히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한 금액이 선거자금으로 집행된다. 공식적인 선거자금이 지원되지 않는 만큼 승려들이 자금을 끌어와 선거를 치르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출마를 원하는 스님의 경우 선거를 위해 자금을 축적해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거자금들이 사찰 세입에서 누락하거나 세출에 부풀려져 조성된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 조계종 안팎의 분석이다. 많은 자금을 동원해 선거에 나서서 당선된 경우에는 자금회수를 위해 종단 내 주요 사찰 주지 등 요직을 돈을 받고 임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준호 종교자유정책연구원장은 “어느 사찰의 승려가 주지가 되기 위해 교구본사 주지에게 돈을 얼마를 건넸느니 하는 루머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며 “조계종 내에서 이러한 금권선거 행태가 사라져야만 사찰의 재정 투명성도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승려들의 미흡한 복지제도 역시 재정 투명성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손꼽힌다. 조계종의 경우 연로하거나 병이 든 승려에 대한 종단 차원의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각 사찰들에 복지업무를 위임하는데 사찰의 재정 형편에 따라 연로한 수행승에게 지원하는 생활비와 치료비 등 혜택이 천차만별이다. 이 때문에 사찰에서 요직을 맡은 승려들이 자신의 노후를 대비해 본인 명의의 통장에 자금을 축적하길 선호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십구재 등 현금 세입이 누락될 수 있는 원인인 셈이다. 출가한 지 45년 된 전국선원수좌회의 한 승려는 “현재 사찰별 재정 불균등이 지나치게 심각하고 이 때문에 승려들의 복지 불평등성도 상당히 크다”며 “총무원에서 사찰별 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개한 뒤 빈곤한 사찰의 승려들에 대한 종단차원의 복지 혜택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동효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