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사명대사가 승군 주둔했던 ‘구미 대둔사 대웅전’ 보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45호

구미 대둔사 대웅전/사진제공=문화재청




사명대사가 승군을 주둔시켰던 구미 대둔사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28일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구미 대둔사 대웅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45호로 지정했다.

구미 대둔사는 구미시 옥성면의 복우산 동쪽 중턱에 남북으로 길게 대지를 조성해 자리한 사찰로 신라 눌지왕 30년(446년)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창건 후 고려 고종 18년(1231년) 몽골족의 침략으로 불타버린 것을 충렬왕의 아들 왕소군이 출가해 다시 세웠고, 그 후 선조 39년(1606년)에 사명대사 유정이 중건해 승군을 주둔시켰다.

현재 사역은 원래 대둔사의 암자인 청련암 자리이며, 현재 자리에서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대둔사 옛터가 남아 있다. 사역에는 대웅전을 바라보며 왼쪽으로는 요사채(스님들이 머물며 생활하는 건물), 오른쪽에는 명부전(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위로하는 건물)과 응진전(수도승에 대한 신앙 형태를 나타내는 건물)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1987년 수리공사에서 상량문이 발견됐으며, 광해문 6년(1614년)부터 순조 4년(1804년)까지 다섯차례 수리가 있었다. 또한 지붕에 ‘건륭31년 병술(1766년)’이라 기록한 망와(장식기와)가 다수 남아있다.

대웅전은 경사지를 따라 조성하며 앞쪽에 높은 장대석 석축과 계단을 뒀으며, 그 위에 장대석(길게 다듬은 돌) 기단과 자연석 초석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지붕)이며 조선시대 전형적인 다포계 건물(지붕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 등에 짜 맞춰 댄 구조물인 공포를 기둥 위 뿐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것)이다.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팔각형 활주(추녀 밑을 받친 보조기둥)을 뒀으며, 창호는 정면 가운데에 꽃살 여닫이문과 배면 우측의 영쌍창(창호 가운데 기둥이 있는 창)이 고전적인 건축양식의 모습을 보여준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17~18세기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우물천장 등의 구조와 내부 닫집(사찰 등에서 불쌍을 감싸는 작은 집)의 섬세한 조각형태가 잘 남아있다.

/우영탁기자 tak@sedaily.com

구미 대둔사 대웅전/사진제공=문화재청


구미 대둔사 대웅전/사진제공=문화재청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