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재 대학교 재학생 김모(23)씨는 최근 고시원을 알아보고 있다. 내년부터 취업준비로 아르바이트를 그만둘 계획이기 때문이다. 그는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30만원대 고시원밖에 없다”며 “기숙사에 들어가고 싶은데 몇 년째 기다리라는 답변만 듣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8월 기준 대학가 원룸 월세는 평균 49만원, 보증금은 1,378만원 수준이었다.
지난 6일에는 서울시청 앞에 한양대학교 학생 10여명이 “서울시가 학교 기숙사 신축을 허가하라”며 영하 날씨 속에 밤샘 시위를 진행했다. 앞서 6월에는 고려대학교 총학생회가 학생 수천 명에게 탄원서를 걷어 기숙사를 신축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 4년제 대학교의 기숙사 수용률은 21%에 불과하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4년제 일반대학 187개교를 분석한 결과다. 서울시 내 15개 대학교 중 11곳은 평균 기숙사 수용률인 21%에도 미치지 못했다. 서울시립대가 8%로 가장 낮았으며 이어 동국대(9%) △고려대(10.3%) △숙명여대(11%) △홍익대(11.4%) 등 순으로 기숙사가 부족했다.
문제는 주민의 반발로 기숙사 확충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총신대는 지난해 116실 규모의 기숙사 건물 신축 허가를 받았지만 인근 주민의 반발에 직면했다. 고려대의 기숙사 신축 계획은 4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주민들은 반대 이유로 생존권을 내세운다. 사근동에 거주하는 이모(67)씨는 “몇 년전부터 하숙하는 학생들이 줄어 돈을 들여 주택을 원룸 형태로 개조했는데, 기숙사 설립 소식이 반가울 턱이 있느냐”고 말했다.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대학생들의 기숙사 문제를 생존권과 주거권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덕수 한밭대 건축학과 교수는 “사립대 및 법인은 2013년 기준 3조 원이 넘는 건축적립금을 활용해 학생들의 주거복지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