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보기술(IT)기업 화웨이는 지난해부터 영국의 도시들의 ‘스마트시티 지수’를 평가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지수란 도시의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발전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목표 달성도를 평가하는 체계이며 향후 방향을 설정하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 스마트시티 지수로 도시들의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순위를 매기기도 한다. 평가체계와 결과에 대한 정부와 기업·학계의 신뢰가 축적되면 국가정책의 기준을 넘어 스마트시티의 국제 표준이 될 수 있다.
최근 많은 IT 컨설팅기업, 대학, 국가기관이 앞다퉈 스마트시티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그 배경에는 미래 산업의 패키지인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과 서비스의 표준 선점을 위한 전략이 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시장 규모는 급격히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스마트시티의 정의와 체계는 없기 때문에 이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첨단기술과 도시산업의 패키지인 스마트시티는 아시아권의 도시화 속도를 감안한다면 천문학적 규모의 시장이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해결 대안으로써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제적으로 신뢰받는 스마트시티 지수가 우리에게 있다면 스마트시티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무디스 등의 국가신용도 평가와 순위발표의 영향력을 우리는 이미 잘 알고 있다. 스마트시티 지수의 중요도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시티 지수 개발 경쟁에 있어 세계적 첨단기업을 보유하고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실증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의 참여는 보이지 않는다. 기업, 정부, 심지어 대학마저 스마트시티 지수의 의미와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다. 시기적으로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스마트시티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기술을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기회는 있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지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발표되는 많은 스마트시티 지수는 선진국 위주의 지표와 평가로 이뤄지고 있다. 개발도상국가 또는 지역 여건이 다른 도시에는 적용이 어려워 범용성이 부족하다. 우리나라의 역량과 경험을 활용하면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의 다양한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고 도시별 맞춤형 해결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지수와 같은 표준체계 개발은 기술과 산업의 선점, 그리고 지속적인 시장창출에 필요한 핵심요소임을 우리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알고 있다. 스마트시티라는 새로운 도시모델에서는 우리가 평가 받는 대상에서 평가를 하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우리의 도시개발 경험과 첨단기술을 융합한 스마트시티 실현 사례를 바탕으로 실효성 높은 스마트시티 지수 개발에 국가·기업·학계의 노력과 역량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