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이 핵융합발전소 도입계획을 세움에 따라 상하이·허페이·청두 등 3개 도시가 치열한 유치경쟁에 돌입했다.
핵융합발전소는 태양이 타오르는 원리인 핵융합을 적용한 발전소로 원료인 수소를 지구상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데다 방사선이 발생하지 않아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이 발전소는 수소가스를 태양의 내부 온도보다 10배나 높은 섭씨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헬륨으로 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를 이용한다.
신문에 따르면 중국은 프랑스 남부에 짓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를 기본 모델로 삼아 2035년까지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중국 대도시들도 핵융합발전소를 유치할 경우 세계 각국에서 과학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고 세계 최고의 혁신도시라는 명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 경제의 중심지인 상하이는 바닷가에 있어 핵융합 때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냉각할 자원이 풍부하며 안후이성 성도인 허페이는 중국과학원 플라스마물리연구소 핵융합실험로가 자리 잡고 있어 기존 연구성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쓰촨성 성도인 청두는 중국 핵무기 설계와 제조의 본산으로 군부와 원자력산업계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 ITER가 핵융합을 10분간 유지한다는 소박한 목표를 가진 반면 중국 핵융합발전소는 이를 몇달간 유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어 현실화까지 상당한 난관이 예상된다. 미국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던 레이옌 베이징대 교수는 “핵융합 프로젝트는 자칫 잘못하면 ‘돈 먹는 하마’가 될 수 있다”며 “핵융합 과정에서 유출될 중성자가 주변 환경에 미칠 치명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희원기자 heew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