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일제가 ‘학도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조선인 학생과 청년 4,385명을 태평양전쟁에 강제 동원한 구체적인 자료가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행정안전부는 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청년의 실태 조사 내용을 담은 진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행안부 과거사업무지원단과 고려대가 지난해 10∼12월 함께 진행한 진상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학도병 제도 시행 배경, 동원 규모, 부대배치 실태, 생존자 회고록, 일본군 부대 명부 등 학도병 동원 피해 실태를 면밀히 다루고 있다.
학도병은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군인 동원제도다. 1943년 말 기만적인 지원과 전형 절차를 거쳐 동원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학병 동원 대상자로 지목된 총 6,203명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4,385명이 군인으로 차출됐으며, 보고서는 이를 실질적인 강제동원이라고 지적했다. 학도병을 거부한 청년들은 군수공장 등지에 보내졌다. 동원된 학도병들은 1944년 1월 20일 일본군 부대에 입영 후 훈련을 받고 전선을 비롯한 각지에 배치됐다. 절반가량은 일본, 30%가량은 중국 전선, 나머지는 한반도에 남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진은 당시 일제의 ‘육군특별지원병임시채용규칙’을 비롯해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학도병 출신자 모임 ‘1·20 동지회’ 회고록, 한국 광복군·독립유공자 명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명부, 일본군 부대 명부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학도병 중 일본군을 탈출해 광복군에 참가한 이가 43명,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은 사람이 71명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 중에는 전선 배치 이후 탈출해 광복군 등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펼친 이들의 기록도 상당수 포함됐다”며 “앞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조사진이 찾은 학도병 명부에는 목숨을 걸고 일본군을 탈출한 학도병의 사례도 자세히 담겨 있다. 평양 출신 고(故) 김준엽 선생(전 고려대 총장)은 1944년 1월 20일 입영해 중국 안동과 상해관을 거쳐 보병으로 서주에 배치됐다. 초년병 교육을 받던 그는 같은 해 3월 행군 전날 복통을 호소해 교관으로부터 내무반에 머무를 것을 명령받았다. 그런데 그날 다시 “복통에도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밝힌 다음 그날 밤 부대를 빠져나왔다. 김 선생은 일본군의 대대적인 수색과 추적을 피해 한국 광복군에 합류했다. 평안북도 삭주가 본적인 고 장준하 선생도 1944년 7월 중국 서주에서 탈출, 자유의 몸이 된 것으로 기록됐다.
행안부는 “지금까지 학도병으로 동원된 조선인은 4,385명으로 추정됐을 뿐 구체적인 자료가 없었다”며 “이번 보고서는 피해 실태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꽃다운 청년을 전장에 내몰아 희생시킨 일본이 우리나라에 끼친 강제동원 피해를 사실대로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며 “앞으로 진실규명에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발간된 보고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