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총장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성추행 의혹 대책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사안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우선 진상조사를 철저히 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응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직장내 양성이 평등하고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하고, 피해 여성 검사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직장내에서 평안하게 근무하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재발 방지 대책 마련도 약속했다.
앞서 대검 감찰본부는 전일 “해당 검사의 게시글에 대한 진상을 철저히 조사해 비위자가 확인될 경우 응분의 책임을 물을 예정”이라며 “해당 검사가 통영지청으로 가게된 계기가 된 사무감사 지적사항의 적정성도 살펴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창원지검 통영지청 소속 서지현 검사는 전일 검찰 내부통신망 ‘이프로스(e-Pros)’에 ‘나는 소망합니다’라는 글과 첨부 문서를 올리면서 파문을 일으켰다. 이 글에서 서 검사는 “지난 2010년 10월 30일 한 장례식장에서 법무부 장관을 수행하고 온 당시 법무부 정책기획단장이었던 안태근 전 검사장이 자신을 강제 추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후 소속 검찰청 간부를 통해 사과를 받기로 하는 선에서 정리됐으나 안 전 검사장으로부터 어떤 연락도 받지 못했다”며 “오히려 검찰총장 경고를 받은 뒤 원치 않은 인사발령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인사 발령의 배후에는 안 전 검사장이 있었고, 성추행 사실을 당시 검찰국장이었던 최교일 자유한국당 의원이 앞장서서 덮었다는 것을 알게됐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안 전 검사장은 “오래 전 일이고 문상 전에 술을 마신 상태라 기억이 없지만, 보도를 통해 당시 상황을 접했고 그런 일이 있었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다만 그 일이 인사나 사무감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 의원도 “성추행 사건 자체를 알지 못했는데 어떻게 덮을 수 있겠느냐”며 “서 검사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고 한 번도 연락한 사실이 없다. 인사상 불이익을 준 일도 없다”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노현섭기자 hit812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