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 하지만 집안 형편이 어려운 저소득층 학생들의 비중이 9년 새 많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돼 ‘개천에서 용난다’는 옛 말이 무색해졌다.
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위 25%인 한국 가정의 학생 중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3등급(Level 3) 이상 상위권에 든 ‘학업 탄력적(academically resilient)’ 학생 비율이 2015년 36.7%로 70개국 중 9위를 기록했다.
지난 2006년까지만 해도 52.7%로 2위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16%포인트 급락한 것이다. 한국에 이어 핀란드 역시 9년 만에 16.7%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PISA는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수학·과학 성취도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조사된다. 그간 한국은 2009년 51.3%로 3위, 2012년 54.9%로 2위를 기록했으나 2015년 30%대로 급락한 바 있다.
이 비율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이 어려운 형편임에도 우수한 학업 성취도를 보여준다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갈수록 빈곤의 대물림 문제가 심화할 가능성 또한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학생의 정기적인 등교와 교실의 훈육적 분위기, 학교 내 과외 활동과 학업 탄력성 간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학생수당 컴퓨터 비율은 오히려 한국 학생의 학업 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2015년 PISA에서 학업 탄력적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53.1%를 기록한 홍콩이었다. 또한 중국 내 또 다른 특별자치행정구인 마카오가 9년 새 13.8%포인트 상승한 51.7%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싱가포르와 에스토니아, 일본이 40%대를 기록하며 각각 3~5위를 차지했으며 캐나다, 핀란드, 대만이 뒤를 이었다.
주요 경제국 중에서는 독일(32.3%)이 12위, 영국(28.2%)은 19위를 차지했다.
또한 2015년 조사에서 처음 포함된 중국(베이징·상하이·광둥성·장쑤성)은 25.9%로 22위에 올랐으며 프랑스(24.1%)는 28위 미국(22.3%)은 31위였다.
반편 비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 0%를 기록한 도미니카공화국이었으며 코소보, 알제리, 페루, 튀니지 등도 1%에 못 미쳤다.
OECD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규율 바른 교실에서 학습하도록 보장하고 목적이 뚜렷한 과외 활동을 확충함으로써 학교가 더 포용력 있고 공정한 사회를 창조하는 선봉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가람기자 garam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