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아랍의 봄’에서 시작된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지 7년이 흘렀지만 사태는 여전히 미궁 속으로 빠지고 있다. 애초 정부군과 반군 간 대립 구도가 형성됐지만 미국 중심의 연합군이 시리아 내 수니파 극단주의 이슬람국가(IS) 집단을 몰아낸 뒤에는 이해관계가 엇갈린 외부 세력 간 대리전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미국과 러시아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대리전이 국가 간 직접적인 충돌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7일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이스라엘 현지언론에 따르면 시리아에서는 대리전 양상을 띤 세력 다툼이 펼쳐지고 있다. 러시아·이란·시리아정부, 터키·수니파 반군, 미국·쿠르드 연합 등 3개 세력이다. 서부·남부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 북서부와 수도 동쪽의 수니파 반군, 유프라테스강 동편의 쿠르드가 각축전을 벌이는 가운데 서로의 정치적 이익에 따라 미국·러시아 등 외부세력이 가세한 것이다.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사격으로 아사드 정권이 반군과의 전쟁에서 사실상 승리했지만 러시아·이란이 역내 패권 야욕을 드러내면서 이러한 대리전 양상은 더욱 격화될 조짐이다. 미국은 러시아의 중동 팽창을 달가워할 수 없고, 사우디아라비아 등 수니파 국가들은 시아파 맹주 이란의 활보를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종 갈등에서 비롯된 터키군의 쿠르드 공격은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역으로까지 공격범위를 넓히면서 대규모 인명 피해를 예고하고 있다. 미국·러시아 뿐만 아니라 터키·이란·이스라엘도 세력 과시에 열을 올리는 상황이다. WP는 “러시아·터키·이란·이스라엘이 방공 사격에 전투기를 잃었다. 미국이 최근 며칠 동안 친이란 시아파 무장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시리아 내전에 더 깊이 개입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문제는 이러한 대리전이 국가 간 직접 대결로 격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미국과 러시아 간 갈등은 자칫 과거 냉전시대를 떠올릴 만큼 살벌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지난 7일 러시아 용병이 참여한 시리아 친정부 무장세력이 미군과 함께 있던 시리아 반군 ‘시리아민주군’(SDF) 본부를 폭격하자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동맹군이 반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교전으로 미군이나 SDF는 큰 피해가 없었지만, 최소 100여 명의 친정부군이 목숨을 잃었고 그 가운데 다수 러시아 용병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긴장감이 고조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이번 사태에 대해 “냉전 이후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발생한 가장 치명적인 충돌”이라고 지적했다.
유엔의 중재 노력도 무용지물이 되고 있어 사태 심각성을 키우고 있다. 유엔 주도로 9차례 열렸던 시리아 평화회담이 사실상 아무 성과도 내지 못한 채 참담한 실패로 남게 될 공산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아이만 수산 시리아 외무부 보좌관은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서 “국가로서, 시리아인이 구성하고 주도하는 위원회가 아니면 어떤 관계도 맺지 않고 얽매이지도 않겠다”며 유엔 주도 개헌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가 됐든 아니면 다른 이름이 됐든 외부에서 구성하는 그 어떤 것에도 속박되지 않을 것이며 그러한 일에는 관심도 없다”고 덧붙였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