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생산성 향상 정책은 경영혁신 지원으로 요약된다. 근거는 1999년과 2005년 각각 제정된 경영혁신지원법과 신사업활동촉진법에 두고 있다. 중소기업·벤처종합지원센터, 경영지원조언자센터 등을 통해 펼치고 있는 주요 정책은 중소기업 경영혁신계획 승인 및 우대, 경영혁신자문 및 인력육성 지원, 고령인력활용 추진사업 등이다. 이 같은 정책에 힘입어 일본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도요타 등 일부 대기업의 생산방식을 도입했고 생산성 제고 효과를 거뒀다.
유럽은 생산성 제고를 범국가 차원의 정책과제로 수행했거나 수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독일 노동부와 교육과학부의 컨설팅·교육훈련 등 작업장 혁신 프로그램 비용 지원, 아일랜드 총리실이 수립한 작업장 혁신국가전략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가 전체가 총력을 쏟다 보니 정책을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원동력은 노사와 국민들의 공감대였다.
이들 국가에 비하면 우리나라 생산성 향상 정책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고용노동부는 현재 일터혁신 컨설팅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 생산성과 근로자 삶의 질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참여사업장이 754개소에 이르는 등 외형적으로는 성장세를 보였다. 상당수 사업장에서는 근로시간이 줄었는데도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이 사업이 앞으로 한국형 모델로 굳건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노사문화·정책환경이 이질적이기 때문에 어느 한 모델을 벤치마킹할 수는 없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경영혁신 지원 결과물은 가족경영주의·종신주의 등의 문화적 배경에서 창출된 것이기에 우리 정부가 벤치마킹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그렇다고 한국이 유럽처럼 일터혁신 정책을 범국가적 과제로 추진하는 것도 우리나라 노사문화·정책환경을 감안할 때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한국형 생산성 제고 정책을 발굴해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