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카드가 미 경제에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지난 1930년 대규모 관세 부과로 발생한 대공황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경고음까지 나오고 있다. 철강·알루미늄을 주원료로 하는 제조 업계의 경쟁력이 하락하는 것은 물론 농업 등 주요 수출품목은 교역 상대국의 보복 타깃이 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공황이라는 사상 최악의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철강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산업에 종사하는 미 노동인구가 650만명에 이르는 반면 철강 생산 업체 종사자는 14만명에 불과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몇몇 소수 기업에 일시적으로 유익할 수는 있겠지만 그보다 많은 기업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항공·자동차를 아우르는 교통 산업이 미국 전체 철강 소비량의 40%를 차지하고 포장 산업이 20%, 건축 업계가 15%를 각각 차지하는 마당에 원자재인 철강 가격이 오르면 미국과 세계 시장에서 이들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철강 선물 가격은 1톤당 4.4% 상승한 840달러를 기록했다. 관세 인상 발표가 예고됐던 전날에는 상승폭이 7.9%에 달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산업별 희비가 엇갈려 오히려 경제에 독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해당 산업의 경쟁력 악화는 비용 절감을 위한 관련 기업들의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송유관협회(AOPL)는 “관세 조치로 파이프라인 비용이 25% 늘어나면 프로젝트 비용이 7,600만달러 증가할 수 있다”며 그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를 정부에 경고했다.
무엇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교역 상대국들의 무역보복으로 인한 타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1930년대 사례에서 보듯 무역전쟁에서 승리자는 아무도 없었다”고 강조하며 “이번 관세 부과가 대공황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1930년 미 의회가 스무트 홀리법을 통과시켜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자 재화의 흐름이 끊기면서 미국은 결국 대공황이라는 사상 최악의 경제 재앙을 맞았다.
이에 미국 내 반발은 업계뿐만 아니라 정계에서도 커지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게리 콘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등 백악관 내 고위관계자 대다수와 여당인 공화당 지도부도 동맹 균열을 표명하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2일 트위터에 “한 나라(미국)가 거의 모든 나라와의 무역 거래에서 수십억 달러를 잃고 있다면, 무역전쟁은 좋고 이기기도 쉽다”고 적으며 무역전쟁의 의지를 거듭 밝혔다.
/박민주기자 parkm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