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에 나서며 긴축 신호탄을 쐈지만 오히려 기준금리를 낮추는 국가가 속속 등장 하는 등 기존과 다른 행보에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본 이탈을 막기 위해 미국의 금리 움직임에 보조를 맞췄던 과거와 사뭇 다른 모습이다. 낮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이어지고 있고 경기 부양적 통화정책이 더 급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무역전쟁 발발 가능성도 금리 인상을 억제 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2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7.5%에서 7.25%로 0.25% 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중앙은행은 이날 정기 이사회에서 이같이 결정하고, 인하된 기준금리가 26일부터 적용된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린 것은 약 1개월 반 만이다.
중앙은행은 이날 보도문을 통해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있고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도 점차 약화하고 있다”고 금리 추가 인하 배경을 설명하면서 “올해 말까지 연 인플레율이 3~4% 수준이 될 것이고 2019년에는 4%에 가까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금리 인하가 계속될 수 있고 올해 안에 중립적 통화신용정책으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18~2020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5~2%로 예상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2월 9일 기준금리를 연 7.5%로 0.25% 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앞서 브라질 중앙은행도 21일 통화정책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존 6.75%였던 기준금리를 6.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브라질이 기준금리 제도를 도입한 지난 1996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브라질 기준금리는 한때 14.25%까지 치솟았지만 2016년 10월 중앙은행이 0.25%포인트 하향 조정한 후 이번까지 총 12차례 연속 인하됐다. 이날 중앙은행은 오는 5월 열리는 차기 통화정책위원회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까지 시사했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회의 후 “통화정책위원회는 브라질의 경제 사정이 부양적인 통화정책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자금이탈 우려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이 기준금리를 계속 하향 조정하는 것은 좀처럼 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브라질은 최근 수년간 이어진 저성장으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실질 국민소득도 감소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제성장률은 2015년 -3.5%, 2016년 -3.46%에서 지난해 1%의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섰지만 인플레이션도 중앙은행 목표치에 못 미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고조되고 있다. 브라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95%로 전년 대비 3.34%포인트 급락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1월 0.29%, 2월 0.32%로 사실상 ‘제로’에 육박한 상태다. 브라질의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4.5%에서 ±1.5%포인트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이날 성명을 통해 “추가적인 완만한 통화부양책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이 지연되는 위험을 줄인다”고 밝혔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자 중국은 발 빠르게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등 시장 금리를 인상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는 “긴축 환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인민은행이 연준의 행보에 보조를 맞추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장 환경을 들여다 보면 긴축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중국의 통화 환경은 전 보다 더 완화적으로 바뀌었다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7일짜리 가중평균 역 RP 금리는 작년 12월 중순 3.51%에서 최근 3.07%로 하락했다.
이밖에 뉴질랜드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1.75%로 영국 중앙은행(BOE)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도 최근 금융정책결정회의 표결을 거쳐 기준금리를 지금처럼 -0.1%로 동결하고 10년 만기 국채금리 목표치도 현행 0% 수준으로 정하며 완화 기조를 유지했다.
이밖에 대만과 인도네시아 등도 기준금리 동결 행렬에 참여했다.
한편 시장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거나 자금 유출이 급증하면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정책이 힘을 잃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현섭기자 hit812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