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는 28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김 위원장의 방중에 대한 정부 입장과 관련해 “중대한 관심을 갖고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중”이라며 “중국 정부로부터 제대로 설명을 들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아베 총리가 중국 측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아무런 사전 언질을 받지 못했음을 명백히 밝힌 것이다.
아베 총리는 재팬 패싱 논란을 의식한 듯 이날 최근 북한의 급격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일본이 상당한 역할을 해냈다고 자평했다. 아베 총리는 “한반도를 둘러싼 변화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결의이자 북한에 최대한의 압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우리 정부의 기본 방침에 따른 결과”라며 “일본이 리더십을 갖고 대응한 결과 북한이 ‘대화를 하고 싶다’고 나오게 된 것”이라고 했다. 북한이 구체적 행동에 나서기 전에는 대북제재를 폐기할 수 없고 국제사회가 단결해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본이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일본 언론들은 최근 사학 스캔들로 입지가 좁아진 아베 총리가 북한 이슈로 만회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에서 정상회담을 갖는 것에 대해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 아베 총리는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과 4월 초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지만 남북·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잡히면서 미일 정상회담이 미뤄졌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달라고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