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지난 1년 동안 운전해온 한반도 평화로의 난코스가 재조명 받고 있다. 남북관계가 바닥 난 시점에서 취임한 문 대통령은 북한의 연이은 핵·미사일 실험과 세계 각국에서 ‘스트롱 맨’이 부상하는 와중에도 대화를 통한 남북 관계 복원 및 평화의 길을 고수했다.
지난 해 5월 보수 색채가 강한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막을 내리고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길을 이어 받은 문재인 정부가 등장하면서 남북 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 취임 나흘 만인 5월 14일 북한은 보란 듯이 신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 1발을 발사하며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이에 문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해 즉각 엄중 경고 했지만, 북한의 무력 도발은 이후에도 계속 됐다. 지난 1년 간 북한은 미사일을 7번이나 발사했다. 지난 해 9월에는 6차 핵실험까지 감행했다. 심지어 북한이 미사일 고도화를 과시하기 위해 미국 본토까지 겨냥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실험까지 강행하자 한반도는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몰렸다. 이에 더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군사적 위협을 담은 말싸움이 수시로 벌어졌고, 한반도에서 전쟁 공포는 극대화했다.
이처럼 한반도 상황이 극으로 치닫는 와중에도 문 대통령은 대북 대화 제의와 한미공조를 통한 최대한의 압박을 병행했다. 무엇보다 지난 해 7월 독일에서 천명한 ‘베를린 구상’, 즉 한반도 비핵화 추구 및 평화체제 구상에 대해 한결 같은 입장을 강조했다. 한반도 평화를 향한 길이라면 어떤 역할이라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한 의지도 놓지 않았다.
남북 관계의 큰 변화 계기는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이었다. 올림픽을 앞두고 북한에 공식·비공식 루트를 통해 참가를 요청했고, 결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화답했다. 이후 남북관계는 급물살을 탔다.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 대남 특사로 서울을 찾았고,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예술단도 방남 했다. 남측에서 화답 성격의 특사와 예술단을 북으로 보내기도 했다.
한반도 운전자 역할을 자처한 만큼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도 수행했다. 일본과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유엔 등 국제사회를 향해서도 제재·압박 협조와 북한 설득을 호소했다.
이 같은 노력은 결국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으로 귀결됐다. 남북 정상이 직접 얼굴을 맞대고 한반도 평화를 담보할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체제 등을 논의하기 까지 남은 시간은 이제 단 하루다.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