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발 미세먼지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그로 인한 질병 발생 또한 심각한 기세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조기사망과 암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만병의 근원이라 할 만큼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보고 있다.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 문제로 마스크를 쓰는 것이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대기오염 상태에 따라 야외활동과 취미생활, 약속장소가 달라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뾰족한 방안은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가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데다가 오랫동안 악화돼 온 환경문제를 단숨에 개선 시킨다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주변 국가와의 공조아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히다 보니 이것마저도 쉽지 않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을 하고 규제강화를 외치면서도 언제나 환경보다는 성장과 발전을 더욱 중요한 가치로 여겨왔다. 그러는 사이 대기와 수질, 토양 등 지구의 환경은 빠르게 오염됐고, 우리나라 역시 모든 환경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올해 초 국민들에게 많은 불안과 고통을 안겨줬던 대기오염 문제다. 문제는 ‘오염 여부’를 TV나 신문과 같은 매체로부터 간접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흐릿한 시야, 하늘의 색깔, 신체적 반응 등 직관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그 오염 수준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뿌옇게 변한 하늘이 주는 시각적인 위압감과 함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막연한 우려가 ‘현실’이 되어 버린 것이다. 또한 이런 공포를 이제 일상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있을 만큼 그 심각성을 피부로 느끼거나 그로 인한 피해를 감수해야만 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우리들의 일상생활의 모습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할 만큼, 미세먼지는 우리의 건강에 치명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기준은 미국, 일본 등에 비해 느슨해 논란이 되어 왔다. 이에 지난 3월 환경부에서는 미세먼지 측정기준을 대폭 강화해 미국, 일본과 동일하게 일평균 35㎍/m3,연평균 15㎍/m3으로 강화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 스스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꾸준하게 가지면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행동들을 습관화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가까운 곳은 걷거나 자전거 혹은 대중교통 이용하기, 분리수거,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 빼놓기 등을 생활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란 미세먼지 고농도 상황이 지속될 때, 단기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긴급 대응조치를 말한다. 수도권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서울·인천·경기 지역 행정·공공기관에서는 차량 2부제를 실시하게 된다. 대기배출 사업장의 운영 단축과 건설공사장 공사기간 단축 등 미세먼지 억제조치도 하게 된다. 비상저감조치는 현재 공공부문에서는 의무 적용을 하고 있고, 민간부문에서는 자율적 참여를 권장하고 있는데, 깨끗한 공기를 위해서는 앞으로 민간부문의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여느 때와 다르게 국민들의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국가적, 사회적인 논의와 정책수립도 중요하지만 개개인 스스로가 일상에서 실천화, 생활화할 수 있는 행동들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위한 효율적인 조치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지 않을까?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