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가 지난달 30일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기고한 글에서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피력한 데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주한미군은 한미동맹의 문제로, 평화협정 체결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미군의 해외 주둔에 부정적 시각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주한미군 전원 철수‘ 명령을 내리려는 것을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이 막았다는 미 NBC 뉴스의 최근 보도가 제기됐다.
크리스토퍼 로건 국방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이날 문 대통령의 발언과 맞물려 주한미군 철수 문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연합뉴스 서면질의에 “다가오는 북미정상회담에서 무엇이 논의될지에 대해 먼저 언급하는 건 적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추측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 인터넷 매체인 ’맥클래치 워싱턴 뷰로‘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거듭 2만5천 명 이상의 병력을 한국에서 철수한다는 아이디어를 제기했지만, 이번 주말 군 지도자들은 한국을 방어한다는 미국의 ’철통 같은 약속‘을 재확인했다”면서 종전 논의에도 불구하고 미군 철수를 고려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는 게 펜타곤(미 국방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앞서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27일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미군이 한반도에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아마도 그것은 먼저 동맹과의 협상에서, 물론 북한과의 협상에서도 우리가 논의할 이슈의 일부”라며 “그 절차를 따라 협상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한 전제나 추정은 하지 않도록 하자”고 발언했다.
카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연합뉴스의 서면질의에 “미국과 우리의 동맹인 한국, 일본은 북한에 대한 일치된 대응을 위해 긴밀한 조율·협력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원론적 답변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어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CVID)를 달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동시에 북한이 비핵화될 때까지 세계적 최대 압박 작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한한 마크 램버트 미국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대행(한국과장)은 1일(한국시간) 기자들과 만나 주한미군 철수를 논의할 것이냐는 질문에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 논의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따.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