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온라인 부동산 카페와 잠실주공5단지 조합 커뮤니티에 따르면 6월 2일 정기 총회에서 안건을 부결시켜야 한다는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다.
한 조합원은 ‘승자의 저주, 6.2총회부결이 곧 답입니다’라는 제목으로 “50층을 받자 박원순 시장이 마음대로 한다”며 “선거를 앞두고 이번 총회 부결이 박 시장에게 큰 충격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합원과 조합장의 갈등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 조합원은 조합장 이름으로 조합원에게 보낸 해명 자료를 항목별로 비판했다. 이 조합원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가장 중요하므로 우선 여기에 집중하고 시공사 선정 이후에 원하는 설계안으로 수정 가능하다는 조합장의 해명에 대해 “이미 졸작 외관이 외부에 공개돼 재산권을 침해 당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어차피 재초환 회피는 늦었지만 사업을 3~4년만 더 지연시켜도 시세급등 시기를 피해 부담금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준공시점을 2025년으로 늦추면 개시시점이 2015년이 되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아파트 값이 5억원 오른 급등기를 피해서 부담금도 3억원정도는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조합장 퇴진과 비상대책위원회 설립 주장도 나왔다. “6월 2일 총회에서 조합원들의 의지와 경고의 뜻을 담아 공모 1안부터 5안까지 모두 부결시켜야 한다”며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해겠다며 당선된 조합장을 경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총회 안건 부결을 주장하는 조합원들의 결론은 서울시의 50층 인가로 재산권에 심각한 침해가 생겼고 재건축초과이익환수도 피하지 못할 바에야 사업 개시 시점을 재검토해 속도를 조절하자는 것이다.
나아가 이번 총회에서 안건이 통과돼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공모 설계안을 수정하겠다는 조합장 주장과 달리 쉽게 바꿀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도서관과 한강보행교 등 공공부분이 그것이다. 이번 공모 당선자의 설계권한은 ㄴ자 모양에서 한강 방면인 A블럭과 잠실사거리 쪽 B블럭은 계획설계까지지만 공공부문인 A블럭의 도서관과 한강보행교 구역은 당선자가 직접 실시설계까지 할 수 있다. 조성룡팀과 계약할 경우 공모안처럼 공공도서관은 한강을 향한 전망대가 될 가능성은 상당하다. 이점이 향후 조합원들의 불만을 키울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총회 전후 이런 점들이 부각 돼 속도조절 주장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잠실동 A공인중개사 대표는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조합원들은 국제설계공모 당선작 문제보다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더 큰 악재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최근 반포현대의 예상 재건축 부담금이 억대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재건축사업을 어떻게 끌고 가야 할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빠른 추진을 원하는 조합원들은 목소리를 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기 총회 결과는 예측하기 힘들다. 장문복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조합장은 “국제현상공모안은 외형 기초설계일 뿐이라서 조합과 계약 후에 이미지는 많이 바뀔 것”이라면서 “세부적인 것은 이제 조합이 만드는 것이라 이번 총회에서 당선안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한편 서울시 관계자는 “우선협상자들이 순서대로 부결될 경우를 고려한 바 없다”면서 “우선 조합에 공모안을 넘겼으니 조합에서 해결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재명기자 nowligh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