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전체 기업의 매출증가율과 수익성·부채비율 등 경영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되긴 했다. 하지만 이런 외형적 지표는 반도체 업종의 유례없는 호황 덕이 컸다는 점에서 기업 전반적인 경영상태가 호전됐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기업 체질의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분석이 타당하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단 2곳의 매출액이 조사 대상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4%에 이른다. 영업이익 비중은 무려 25.5%까지 치솟는다.
반도체 착시현상에 가려 있는 한계기업의 부작용과 폐해를 경계해야 마땅하다. 지금은 각종 정책자금과 저금리 등에 힘입어 버틴다지만 앞으로 금리 인상 기조와 맞물려 부실을 확대할 우려가 크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한계기업을 방치하면 자원배분의 왜곡을 낳을 수밖에 없다. 한계기업의 자산이 10%포인트 늘어나면 고용이 0.5%포인트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금이야말로 기업 부실 리스크를 선제 관리해야 할 때다. 그나마 수출이 호조를 보이지만 현재의 글로벌 호황이 1~2년 뒤 하강 국면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미룰수록 부실처리 비용은 늘기 마련이다. 일차적으로 은행권의 책임이 막중하다. 눈앞의 실적악화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잠재적 암 덩어리를 사전에 제거하도록 여신건전성 평가기준을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 금융당국 역시 실업대란을 우려해 부실기업 솎아내기에 주저해서는 안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