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형 성폭력 사건의 가해 교수 상당수는 솜방망이 징계를 받고 여전히 교단에 남는데, 왜 피해 학생들만 2차 가해를 두려워하며 학교를 떠나야 하나요. 대학 곳곳에서 같은 상황이 반복되는데 교육부는 왜 손을 놓고 있는지요.”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은 30일 오전 11시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위계형 성폭력 사건에 대한 강력 처벌과 재발방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는 “대학은 문제가 터지면 학교 명예를 운운하며 일단 덮고, 교수는 잘못이 드러나도 두세 달 쉬고 버젓이 학교로 돌아오고, 교육부는 이런 대학을 어쩔 수 없다며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피해 사실을 폭로한 학생 대다수는 거대한 교수권력과 맞서 싸울 힘이 없고, 졸업 후 학문공동체에서 손가락질당하는 게 두려워 학업을 포기한다”며 이들이 학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교육부에 청원했다.
이들은 학생들에게 성희롱과 폭언을 한 의혹이 제기된 서울대 사회학과 H 교수가 정직 3개월 징계처분을 받은 데 대해 “전형적인 솜방망이 처벌”이라며 “이러한 관행을 타파하고 상식적인 수준으로 교원 징계 양형을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대학 내 각종 비위 사건들은 암 덩이를 도려내면 새로운 암 덩이가 자라나듯 가해자 이름만 바뀔 뿐 끊임없이 반복된다”며 “위계 구조를 생산하고 방치해온 대학에도 공동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날 회견에는 고려대 대학원생대책위원회, 서울대 H교수 사회학과대학원대책위원회, 동덕여대 H교수 성폭력 비상대책위원회, 고려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준비위원회가 참석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