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직척추염은 말 그대로 척추에 염증이 생겨 뻣뻣해지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20~30대의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는 만성 관절질환이다. 관절 염증은 척추뿐 아니라 어깨·무릎·발목에도 생겨 유사한 경직을 초래하기도 한다. 갈비뼈를 척추와 가슴뼈에 연결해주는 인대에 침범하는 경우도 있다.
강직척추염으로 인한 요통은 디스크나 척추 관절이 손상돼 발생하는 요통과는 다르다. 아침에 일어날 때 혹은 같은 자리에 오래 앉아 있었을 때 뻣뻣한 느낌이 들며 통증이 심하고, 운동을 하거나 일상 활동을 시작하면 오히려 요통이 약해지는 특징이 있다. 허리통증이 아니라 고관절·무릎 관절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면서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골반에 있는 천장 관절에서 염증이 시작되지만 질환이 진행되면 목까지 병이 침범해 척추 운동 능력이 떨어지고 목·허리에 변형이 오거나 통증이 발생한다. 합병증으로 눈이 충혈되고 아프면서 일시적으로 시력이 감퇴하는 포도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대동맥 판막 질환이나 대동맥염과 같은 심장 혈관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강직척추염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미생물이나 소장 또는 대장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이 강직척추염 발병과 관련이 있다.
아직 확실한 강직척추염 치료법은 없지만 병의 진행을 막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다. 치료는 크게 운동치료와 약물치료로 나뉘는데 두 방법을 동시에 병행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가 없으면 결국 척추는 뻣뻣해지며 점차 굳는다.
약물치료로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와 항류머티즘 약물 등이 사용된다. 항종양괴사인자 억제제도 최근 들어 중요한 치료제로 자리잡았다. 무엇보다 운동으로 관절 주위 근육을 튼튼하게 해 관절 변형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매일 아침 몸 전체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체조가 핵심이다. 운동 때문에 통증이 심해지거나 뻣뻣함을 더 느끼는 경우에는 뜨거운 목욕이나 샤워를 해 몸을 풀도록 한다. 축구나 농구 등 신체적 접촉이 많거나 볼링같이 특정 관절이나 근육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항상 올바른 몸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는 물론 수면 중에도 올바른 자세를 취해 관절이 나쁜 형태로 굳는 것을 막아야 한다. 베개는 가급적 낮은 것을 사용하고 딱딱하고 평평한 침대나 바닥에서 자는 것이 좋다. 낮고 푹신한 의자에 장기간 앉는 것은 나쁜 자세의 원인이 되며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