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것은 회장 선임을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초기에는 선임과정 공개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더니 청와대 개입설, 후보 간 음해설까지 터져 나와 파문을 빚었다. 이제는 한술 더 떠 정치권에서 기자회견과 간담회까지 열어 노골적인 개입을 서슴지 않고 있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포스코 회장 선출과정이 불투명하다”면서 “승계 카운슬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같은 당의 홍영표 원내대표도 밀실 의혹을 제기하며 거들고 나섰다. 게다가 시민단체들까지 선출 절차가 무효라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1대 주주인 국민연금의 역할론을 제기해 논란을 키우고 있다.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 이후에도 4명의 회장이 정권교체와 함께 자리에서 물러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스코를 전리품처럼 취급하면서 권력에 줄을 서는 도덕적 해이가 기승을 부렸다. 새 회장의 최우선 과제로 정치적 외풍 차단이 꼽히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그런데 선출과정부터 정치권의 입김이 작용한다면 취임 이후의 행보가 어떨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포스코는 100년 기업으로의 도약이냐 좌절이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본연의 경쟁력을 되찾자면 신임 회장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할 수밖에 없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에 포스코마저 정치 외풍에 흔들린다면 미래를 기약하기 힘들 것이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더 이상 포스코 회장 선임을 놓고 ‘콩 놔라 팥 놔라’ 해서는 안 된다. 정치가 함부로 나서지 않는 것이야말로 국민기업인 포스코를 위하는 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