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들이 6·25전쟁 기념식에서 진행한 ‘만세삼창’이 논란이다. 6·25전쟁의 아픈 역사를 되새기고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추모하기 위해 진행한 이런 행사에서 만세를 부르는 것이 뭔가 불편하다고 토로하는 참석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관례로 굳어진 데 대해 지자체들도 특별한 배경설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26일 지자체에 따르면 경남도는 지난 25일 신관 대강당에서 6.25 참전용사와 유가족, 도내 기관 단체장, 공무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6·25전쟁 68주년 행사를 개최했다. 도는 이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기념사, 참전용사 9명 표창 수여 순으로 진행된 행사에서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만세삼창을 했다. 이날 행사에서 만세삼창 선창을 한 관계자는 “식순에 의해 내가 지명돼 (만세삼창 선창을) 했지만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수많은 참전용사들이 목숨을 잃은 참혹한 전쟁을 교훈 삼는 날인데 ‘만세를 불러야 하는가’라는 의구심이 들더라”고 털어놨다.
또 다른 참석자도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아픈 역사 앞의 호국영령들을 추모하는 자리에서 만세를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해마다, 식순에 포함돼있어 올해도 했다”며 “앞으로 계획에서는 검토를 한번 해봐야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대구시 등 광역시와 충북 청주 등 시군도 각각 열린 6·25 전쟁기념식 행사에서 참전유공자 및 유가족, 일반시민 등이 모인 가운데 만세삼창을 하는 등 전국 대부분 지자체들이 이벤트성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같은 날 중앙정부가 서울 송파구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진행한 6.25전쟁 68주년 중앙행사에서는 ‘만세삼창’이 나오지 않았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일반 행사 때 진행되는 만세삼창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나 지침은 없다”면서도 “중앙정부 행사의 경우는 만세삼창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