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사람(People)·상생번영(Prosperity)·평화(Peace)를 위한 미래 파트너십’을 뜻하는 ‘3P 플러스’ 협력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인도와 싱가포르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분명하다. 지난해 11월 천명한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국이기 때문이다. 특히 2025년이면 중국을 제치고 인구 1위국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의 시장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우리나라의 7대 수출국으로 잠재력이 큰 곳이다. 싱가포르를 비롯한 아세안 역시 ‘넥스트 차이나’ 시대의 버팀목이 될 수 있는 대안이다.
무엇보다 미중 간 무역전쟁 격화로 G2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인도·아세안과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이다. 인도·아세안과의 파트너십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는 얘기다. 인도·아세안의 풍부한 인적자원과 생산능력, 넓은 시장이 우리의 우수한 기술·경험, 자본과 결합하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우리 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을 기회를 잡을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이 기회 있을 때마다 관련국 방문에 적극적인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이제 중요한 것은 구상을 성과로 연결하는 것이다. 다양한 종교와 언어·정치체제를 극복해야 하고 이미 물량공세를 펼치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견제도 만만찮다. 한발 늦게 진출한 우리로서는 쉽지 않은 싸움터인 셈이다. 경쟁을 이겨내고 신남방정책이 성과를 내려면 범정부 차원의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유통망 구축, 자금지원 등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워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