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성대모사, 나를 향한 호감의 표현이란 것 알았다”
‘신세계’, ‘관상’, ‘암살’ 등 이정재의 흥행작들에는 반드시 ‘명대사’가 존재한다. 딱히 특별할 것 없는 대사임에도 불구하고 이정재의 걸걸한 목소리와 특유의 말투가 더해지면 관객들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남긴다. 평범한 대사도 자신만의 것으로 만드는 이정재만의 강력한 힘이다.
덕분에 각종 예능프로그램에서는 ‘이정재 성대모사’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배우, 개그맨들은 물론 걸그룹 멤버까지 너나 할 것 없이 영화 속 이정재의 대사를 흉내 냈다. 다소 우스꽝스럽게 묘사되기도 하는 성대모사가 낯설게 느껴진 적도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정재는 이것 또한 자신을 향한 애정의 표현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처음에는 성대모사를 보는 게 어색했는데 이제는 같이 즐기고 있다. 내가 출연했었던 영화의 대사를 따라하시는 건 그만큼 나에 대해 친밀감이 생겼다는 뜻인 것 같다. 관객들과 조금 더 가까워진 느낌이 들어서 감사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여전히 이해할 수 없는 명대사도 있다. ‘신세계’에서 자신을 차로 위협한 이중구(박성웅)에게 던진 ‘거 장난이 너무 심한 거 아니오’라는 대사다.
“만드는 사람의 의도와 관객들이 좋다고 느끼는 건 많이 다른 것 같다. ‘신세계’의 그 대사를 그렇게 따라하실 줄은 꿈에도 몰랐다. 그 대사는 시나리오를 봤을 때 가장 어려웠던 대사였다. ‘왜 대사를 이렇게 쓰지?’ 생각했었다. 제작자 분도 그 대사는 본인이 바꿔서 해도 된다고 했었는데 굳이 차선책의 대사가 떠오르지 않아서 그냥 하게 됐던 대사였다”
관련기사
많은 관객들의 대사를 기억하게 만든다는건, 그만큼 그의 캐릭터가 강한 인상을 남겼다는 뜻이기도 하다. 작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 캐릭터를 가장 중요시 여긴다는 이정재의 연기관이 대중에게도 통했다.
“연기자한테 가장 중요한 건 캐릭터다.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분량이 량이 아니라 어떤 모습으로 어떤 감정을 전달하는 지가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주, 조연 가리지 않고 일을 하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진하게 남은 캐릭터의 잔상이 좋은 영향만 끼칠 리는 없다. 매 작품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배우에게 전작의 캐릭터는 곧 자신이 뛰어넘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아직도 “‘나는 언제쯤 연기를 잘할 수 있을까’ 생각 한다”는 이정재는 ‘신과함께’ 염라대왕을 뛰어넘을 또 다른 캐릭터를 예고하며 여전한 열정을 보였다.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캐릭터가 생기면 또 다른 작품, 캐릭터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당연히 염라가 가장 기억에 남으시겠지만 이후에 ‘사바하’가 개봉한다면 ‘사바하’의 목사가 더 기억에 많이 남도록 만드는 게 내가 할 일이다.들어야 하는 것이 내가 해야 하는 일이다. ‘사바하’에서는 껄렁껄렁한 목사로 나오는데 재미있는 캐릭터다. 굉장히 열심히 만든 작품이다.”
/김다운기자 sest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