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과 여야의 이번 합의가 갖는 의미는 적지 않다. 국회와 정부, 여당과 야당이 협치에 대한 공감대를 마련했다는 점이 그렇거니와 정부와 국회가 민생 경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해소를 위한 행동에 나선 것도 큰 성과다. 비록 정의당의 반대로 규제혁신 법안의 8월 임시국회 처리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지만 나머지 참석자들이 동의를 표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은 충분하다.
합의는 했지만 실천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여야는 임시국회를 열 때마다 민생법안을 우선 처리하겠다고 수없이 다짐해왔다. 8월 국회 역시 처음에는 시급한 법안을 우선 처리할 것처럼 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성과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도 1년 전 대통령과 여야 당 대표들이 구두로 약속한 사항이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탓이다.
민생법안을 8월 국회에서 우선 처리한다는 합의의 실천은 이러한 불신의 벽을 무너뜨리고 신뢰의 탑을 쌓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통령과 여야의 모습이 지금 같아서는 안 된다. 대통령과 여당은 야당의 올바른 지적과 비판을 수용할 줄 아는 포용성을 갖춰야 한다. 소득주도 성장과 노동정책에 대한 재검토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야당은 트집만 잡으려 할 게 아니라 국정운영의 파트너라는 인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대통령과 여야가 이번만큼은 약속을 꼭 지켜 고용과 투자 가뭄에 시달리는 경제에 단비를 내려주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